앵커 : 한국 국방부 산하 국방과학연구소(ADD)는 북한이 최근 시험발사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실전배치까지는 수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방부 산하의 국책연구기관인 국방과학연구소(ADD)는 7일 북한이 최근 발사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3형’을 기존의 북한 SLBM보다 사거리가 늘어난 완전히 다른 형태로 평가했습니다.
남세규 ADD 소장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자리에서 이 같이 밝히고 “고각발사, 고도와 사거리, 탄착지점 사거리 등을 고려할 때 2016년 발사된 북극성-1형보다 사거리가 50% 증가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남 소장은 이어서 “(북한이 이번에) 수중에서 첫 발을 발사해 최대 능력을 본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북극성-3형의 실전 배치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남 소장은 “(북극성-3형은) 이번에 처음 발사한 것으로 1발만 쏴서는 실전배치를 할 수 없고 잠수함의 안전성도 보장하기 어렵다”며 “실전 배치에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북한이 북극성-3형의 실전배치를 서두를 수도 있다는 관측을 내놨습니다.
또한 남 소장은 SLBM 탐지 방법에 대해서는 잠수함이나 무인 잠수정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북극성-3형에 대한 한국 군의 대응체계와 관련해서는 “북한이 과거에 발사한 SLBM에 대해서는 대응 체계가 갖춰졌었는데 이번 북극성-3형에 대해서는 더 분석을 해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