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통일부가 김여정 당 부부장의 대미, 대남 비난 담화에 대해 현재의 정세를 악화시킨 원인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7일 북한에 평화를 위한 올바른 길을 선택하길 촉구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재의 정세 악화는 북한의 무모한 핵과 미사일 개발로 초래된 것”이라며 “북한은 이제라도 도발과 위협이 아닌 평화를 위한 올바른 길을 선택하길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김여정 당 부부장이 7일 내놓은 대미, 대남 비난 담화에 대해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입니다.
김 부부장은 이날 담화에서 “북한이 태평양 지역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을 쏘면 즉각 격추할 것”이라는 존 애퀼리노 미 인도태평양사령관의 발언을 인용한 한국 매체의 보도를 언급하며 미국을 비난했습니다.
김 부부장은 “공해와 공역에서 주변국들의 안전에 위해가 없이 진행되는 전략무기시험에 요격과 같은 군사적 대응이 따르는 경우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명백한 선전포고로 간주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언제든 신속하고 압도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상시적 준비 태세에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과 한국에 정세를 악화시키는 언동을 삼가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북한은 외무성 보도국 대외보도실장 명의의 담화를 통해서도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했습니다. 이 같은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한반도 지역에서 물리적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고 위협하기도 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한미에 위협적인 메시지를 발신한 북한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성준 한국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한미 정보당국은 긴밀한 공조 하에 현 상황 관련 북한 동향에 대해 더욱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한국 군은 철저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북한 군의 특이 동향에 대해서 설명드릴 내용은 없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북한의 우주 활동이 국제법적으로 담보돼 있다는 박경수 북한 국가우주개발국 부국장의 주장에 대해 반박의 입장을 내놨습니다.
앞서 박 부국장은 지난 6일 북한 관영매체를 통해 북한이 지난 2009년 3월 우주조약과 등록협약등에 각각 가입했음을 언급하며 우주의 탐사와 이용과 관련한 주권 국가의 권리를 당당히 행사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이에 한국 외교부는 국제법적으로 위성발사가 정당하다는 북한의 주장은 명백한 허위라고 강조했습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위성 명목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감행하려는 것을 우려한다”며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그 어떠한 발사도 다수의 유엔 안보리결의에 따라 금지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 :유엔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채택한 결의 2270호에서도 2016년 북한의 광명성 4호 발사가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이를 규탄한 바 있습니다. 우주조약 당사국임을 주장하면서 국제사회를 호도하려는 북한의 그 어떠한 시도도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한미 군 당국은 7일 경남 창녕군의 남지 비상활주로에서 연합 비상활주로 이착륙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훈련이 한국의 작전 비행장을 타격할 초대형 방사포를 배치했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응하는 차원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한국 공군에 따르면 이번 훈련에는 한미의 항공 전력 10여 대가 참가했습니다. 미 공군에서는 A-10 공격기, C-130J 수송기, MC-130J 특수전 수송기가 참가했고 한국 공군에서는 C-130, CN-235 수송기, HH-47 헬기가 투입됐습니다.
이덕희 한국 공군 공중기동정찰사령부 작전훈련처장은 “비상활주로 이착륙 훈련은 공군기지가 아닌 곳에서도 항공작전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적인 훈련”이라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반복 훈련을 통해 전시 연합작전 수행능력과 비상활주로 운용 능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자 목용재,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