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통일부가 다가오는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기념하는 남북 공동행사 개최가 사실상 어려워졌다며 한국 측 단독으로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6·15 남북 공동선언.
지난 2000년 김대중 한국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채택한 6·15선언 20주년 기념행사가 한국 측 단독으로 개최될 전망입니다.
그간 한국 정부가 추진해 온 남북 공동행사가 사실상 무산된 것입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28일 기자들과 만나 남북관계 경색 국면 지속과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감염증 사태 등으로 남북 공동행사 개최가 객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20주년의 의미가 있는 만큼 공동행사를 희망해 왔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본다"며 향후 남북이 합의했던 사항을 함께 기념하면서 남북 관계를 공동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손을 잡을 기회를 바라고 있다고 밝힌 이 당국자는 한국정부 차원에서 북한에 공동행사를 제의한 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초 한국 민간단체 측에서는 북한에 공동행사 개최를 제의했지만 북한은 답을 해오지 않았고 이와 관련해 한국 통일부는 남북 공동행사 개최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여상기 한국 통일부 대변인(지난 15일): 한국 정부도 공동행사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금 신형 코로나 상황에서 대규모 행사를 열면 기본적으로 접촉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황이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규모 행사가 갖는 어려움을 고려해 6·15 공동행사의 취지에 맞는 그런 자체행사를 기획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이와 관련해 남북 공동행사 개최에 대한 북한의 소극적인 태도는 경색된 남북관계에 신형 코로나 사태까지 겹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신형 코로나 사태 극복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고 미북 비핵화 대화마저 정체된 상황에서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에 힘을 쓸 여유가 없을 것이란 설명입니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 일정상으로도 촉박할 뿐 아니라 북한이 신형 코로나 사태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남북이 행사를 함께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미북 대화에 집중해 온 북한이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최근까지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6·15 행사에 갑자기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은 현재로선 높지 않다고 봅니다.
한국 통일부도 신형 코로나 사태에 대응해 방송과 인터넷 등 비대면 방식을 적극 활용해 6·15선언 20주년 행사를 진행하는 한편 일부 마련된 야외 행사도 상황에 따라 언제든 축소나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음 달 14일 진행될 파주 접경지역 일대를 걷는 '평화산책' 행사와 15일 열릴 기념식·문화행사 등 행사 일부가 야외에서 진행될 계획이지만 신형 코로나 사태 추이에 따라 규모가 축소되거나 장소가 실내로 변경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