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남북 정상회담 날짜가 내달 27일로 확정됐습니다. 남북은 정상회담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내달 4일 실무 회담도 개최할 예정입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제3차 남북 정상회담 개최 날짜가 확정됐습니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내달 27일 판문점 남측 지역의 ‘평화의 집’에서 만납니다.
남북은 29일 판문점 북측 지역의 ‘통일각’에서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보도문을 채택했습니다.
한국의 고위급대표단장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회담 종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정상회담은 하루 일정으로 북한과 얘기해왔다”며 “큰 이견 없이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 : 오늘 회담을 통해 정상회담 개최 일자를 확정함으로써 향후 본격적인 정상회담 준비 절차에 돌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정부는 향후 예정된 분야별 실무접촉 등을 통해 남북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갈 것입니다.
남북이 다음달 27일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하면서 정상회담 준비 작업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남북은 내달 4일 판문점 남측지역에서 정상회담에서의 의전, 경호, 보도 등과 관련한 실무 협의를 벌이기로 합의했습니다.
통신과 관련한 실무협의의 날짜와 장소는 추후 확정하기로 했습니다. 통신 실무협의에서는 남북 정상 간의 직통전화 설치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예정입니다. 남북은 또한 이외의 기타 실무 사안들에 대해서는 문서 교환을 통해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이날 남북이 채택한 공동보도문에는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한 언급은 없었습니다. 이에 대해 조명균 장관은 “이번 회의에서 의제에 대한 의견 교환도 충분히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의제 부문에 있어서는 남북 간 협의가 좀 더 필요하기 때문에 이번 공동보도문에는 관련 내용을 담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조 장관은 “남북은 필요하다면 4월 중 후속 고위급회담을 열고 의제 문제를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며 “또한 충분한 협의를 통해 의제와 관련한 표현을 결정하자고 의견을 나눴다”고 말했습니다. 의제와 관련해서는 남북이 크게 이견이 없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조 장관은 그러면서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남북관계 발전 문제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북한의 고위급대표단장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은 남북 정상회담의 의제에 대해 “남북 관계에서 제기되는 모든 문제”라며 “민심이 바라는 것이 우리의 의제”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은 점심 식사 전에 종료됐습니다. 남북이 마주 앉아 회담한 시간은 91분 여입니다. 이례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남북 합의가 이뤄진 겁니다. 남북이 그동안 판문점 연락 통로를 통해 날짜와 의제 등을 꾸준히 조율해왔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해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남북은 그동안 꾸준히 논의를 해왔고 오늘도 그런 차원에서 얘기를 했다”며 “또한 협의하고자 했던 사안들이 정리됐기 때문에 (일찍) 끝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