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는 다음 달 개최하기로 한 남북 정상회담의 의제가 비핵화 문제에 집중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남북이 추진한 경의선 철도 점검 계획이 유엔군사령부의 불허로 무산된 것과 관련해선 현재 미국과 긴밀히 협의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30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판문점 선언이나 센토사 합의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비핵화였다며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비핵화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다루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비핵화 문제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 여부와 관계없이 남북 정상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사안이라며 이를 해결하는 데 논의를 집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남북이 공동으로 경의선 철도의 북측 구간을 조사하려던 계획을 유엔군사령부가 불허한 것과 관련해선 현재 미국과 긴밀하게 협의 중이라며 현재로선 구체적인 내용을 말할 수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앞서 남북은 철도 협력사업과 관련해 지난 22일 6량의 열차를 서울역에서 출발시켜 북한의 신의주까지 운행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습니다.
그러나 비무장지대(DMZ)를 관리하는 유엔군사령부가 통행계획 통보시한을 넘겼다는 이유로 남측 인원과 열차의 군사분계선 통행계획을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번 철도 시험운행이 대북제재 위반과 무관하다고 보고 시범운행 계획을 다시 추진해 유엔사로부터 승인을 받을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 : 우리 정부는 판문점 선언 내 합의사항 이행 등 북한과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대북제재 관련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국 등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의한다는 기본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 취소 이후 개성 공동연락사무소의 개소가 지연되는 등 남북 협력사업에도 차질을 빚고 있어 실제 성사 여부는 불투명해 보입니다.
남북은 판문점 선언에서 남북 철도연결과 현대화에 합의한 뒤 남북 연결구간에 대해 점검을 마쳤습니다.
이어 지난 6월 경의선 철도 북측 구간에 대한 공동조사를 7월 24일부터 시작한다고 합의했지만 계속 지연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축사를 통해 “철도와 도로의 연결은 한반도 공동번영의 시작”이라며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철도 도로 연결은 올해 안에 착공식을 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