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회담 14일•적십자회담 22일 개최

0:00 / 0:00

앵커 : 남북이 고위급회담을 열고 후속 실무회담 일정들을 확정했습니다. 또 가까운 시일 안에 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공단에 개설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이 1일 ‘판문점선언’을 이행하기 위한 고위급회담을 갖고 공동보도문을 채택했습니다.

공동보도문에 따르면 남북은 군사적 긴장완화를 협의할 장성급 군사회담을 14일 판문점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을 22일 금강산에서 각각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또 아시아경기대회 공동참가를 논의할 체육회담을 18일 판문점에서 열기로 했으며,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공단에 개설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 : 가까운 시일 안에 쌍방 당국자가 상주하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공업지구에 개설하기로 하였습니다.

남북은 철도 도로 협력 분과회의, 산림 협력 분과회의, 예술단 공연 실무회담도 열기로 했는데 날짜와 장소는 문서를 교환해 확정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북한이 남측 지역에서 열자고 제안했던 6.15 남북 공동행사는 여러 가지 일정 문제로 이번에는 열지 않기로 했습니다.

대신 남북은 판문점선언 이행을 총괄 점검하기 위해 고위급회담을 정례적으로 열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번 회담에서는 북한에 억류돼 있는 한국 국민 6명의 석방 문제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남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남측이 문제를 제기하자 북측은 관련 기관에서 검토하고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고위급회담에는 한국 측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김남중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안문현 국무조정실 심의관 등이 대표로 나섰습니다.

북한 측에서는 리선권 조국통일평화위원회 위원장을 단장으로 김윤혁 철도성 부상, 원길우 체육성 부상, 박용일 조평통 부위원장,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 등 5명이 대표단으로 나왔습니다.

리선권 조평통 위원장 : 지난 시기는 회담을 진행하면 목들이 쉬어서 쌍방 수석대표 단장들이 목들이 다 쉬어서 나갔습니다. 호상 논쟁, 언쟁을 많이 하느라고..

남북은 지난달 16일 고위급회담을 열기로 했지만 북한 측의 일방적인 연기 통보로 취소됐다가 지난달 26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날 다시 열리게 됐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이날 고위급회담에서 회담 결렬에 대한 책임을 남측 탓으로 돌렸습니다.

리선권 조평통 위원장 : 5월 우리가 만나지 못한 것은 조명균 장관 선생이 절대 자기비판은 하지 마시고…

이날 남북은 오전에 전체회의를 가진 뒤 점심도 거른 채 4차례의 수석대표 접촉을 갖고 오후 5시 25분께 종결회의 열고 공동보도문에 서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