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전 특사 “제재 대상 김정은과도 정상회담은 필요”

0:00 / 0:00

앵커 : 미국의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 수락 이전에 억류 미국인 문제를 해결했어야 한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 억류 미국인 석방은 전제조건으로 내걸기 보다 정상회담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최근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는 북한에 억류된 세 명의 미국인 석방 문제와 관련해 킹 전 특사는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 문제는 북핵 관련 미북 정상회담 논의를 시작하는 시점에 거론할 사안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킹 전 특사 : 회담이 열리면 트럼프 대통령은 억류 미국인 문제를 분명 거론할 것입니다. 하지만, 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 전제조건으로 내놓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That isn't the first thing you want to raise when you're trying to set up a meeting. Obviously, if you set up…but, I don't think this is something you ask for as a precondition to talking and setting up the meeting, that kind of thing.)

킹 전 특사는 북한의 구체적인 인권 개선이 없는 상황에서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주민의 인권 탄압을 이유로 미국 정부의 제재 목록에 오른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정상회담에 나서는 데 대한 입장도 표명했습니다.

킹 전 특사 : 제재는 은행 계좌나 미국 여행 금지 등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과 같이 문제가 많은 나라와 어려운 문제를 정상회담을 통해 해결해 나가려면 제재 대상과도 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은 김 위원장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함으로써 그의 행동에 대한 미국의 우려와 불만을 이미 분명히 했다는 사실은 대화에 나선다고 변하는 것이 아닙니다.

킹 전 특사는 그러면서 미북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북한이 억류 미국인을 석방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북한이 회담을 통해 얻는 것에 비하면 억류 미국인을 모두 석방해도 그다지 잃을 것이 없다고 판단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킹 전 특사는, 자신은 현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해 내부 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최근 스웨덴 즉 스웨리예 외교부를 방문한 리용호 북한 외무상과 스웨덴 측의 주요 논의 의제가 억류 미국인 석방은 아니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Based on past experience, I would say that it is unlikely that discussing the release of American citizens was the principal topic between Ri Yong-Ho and Swedish officials.)

킹 전 특사는 자신의 경험으로는, 미국인 석방 문제는 북한의 외무상이 아닌 외무성 부상과 미국 측 파트너가 논의할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 억류 미국인 석방 협상이 간혹 스웨덴이나 노르웨이 같은 제 3국에서 열리기도 했지만, 미국과 북한이 직접 대화에 나서곤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따라서, 스웨덴 외교장관 등 당국자들과 리 외무상 간의 주요 의제는 미북 정상회담의 개최 장소, 혹은 리 외무상과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관리가 향후 스웨덴에서 접촉하기 위한 장소를 논의했을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킹 전 특사는 현재 미국 국무장관이 공석이기 때문에 좀 더 직급이 낮은 국무부 관리나 백악관 관리가 리 외무상과의 회담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