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미북 정상회담의 취소 배경을 밝혔습니다. 정상회담 사전 준비를 위해 북한 측에 연락을 취했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다는 설명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24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을 취소한다는 깜짝 발표와 거의 동시에 미국 연방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은 이번 회담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갖췄지만 북한이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며 회담 결렬 이유를 밝혔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지난 며칠 간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나 사이에 합의한 대로 회담을 진행하기 위해 우리 협상단은 무척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문의에 대해 북한으로부터 아무런 대답도 듣지 못했습니다.
(Over the past many days, we have endeavored to do what Chairman Kim and I had agreed, was to put teams, preparation teams together to begin to work to prepare for the summit. And we had received no response to our inquiries from them.)
폼페이오 장관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이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미북 회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협상(deal) 자체가 아니라 (북한의) 실질적인 변화(transformation)를 만드는 결과(outcome)를 얻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김 위원장과 두 차례에 걸쳐 직접 만났을 때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에 대해 미북 양측의 확실한 이해가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상회담 날짜를 얼마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측에서 수차례 언급됐던 리비아식 비핵화에 대한 지적도 나왔습니다.
밥 메넨데즈(민주∙뉴저지) 상원의원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트럼프 대통령, 마이크 펜스 부통령 등이 결국 사망과 몰락으로 끝난 카다피 정권을 의미하는 리비아식 해법을 재차 거론한 것이 어떻게 김 위원장과의 협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냐며 비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볼턴 보좌관 등이 말한 리비아식 비핵화 해법은 단기간에 외교 협상을 하는 것을 의미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우리가 말한 리비아식 해법에 대한 오해가 있습니다. 2003년 리비아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 협상을 통해 핵무기를 포기하는 결단력을 보여줬습니다. 그것이 리비아 방식입니다.
(There’s misunderstanding that’s taken place with us the idea of Libya model. Libyans gave up their nuclear weapons. It was quick decisive work negotiated over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n 2003. That was Libya model.)
그러나 “북한 측에 리비아 방식을 적용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과 볼턴 보좌관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는 “말할 수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습니다.
회담이 취소된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묻는 질문에 폼페이오 장관은 내부 논의가 있어야 겠지만 수일 내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기존과 같은 최고 수준의 대북제재는 그대로 유지할 것이며, 북한 경제제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중국과도 이 부분에 대해 확실한 동의를 얻었다고 덧붙였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북 정상회담이 다시 열릴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결국 김 위원장 스스로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서한에서 말한 바와 같이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협상의) 길로 돌아가기 위한 김 위원장의 연락을 환영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