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는 성 김 대북정책특별대표의 한국 방문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 양국간 긴밀한 협력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실은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성 김 대표가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정의용 외교부 장관 등 한국 고위 인사들과 만나 한반도 정세를 논의하고, 긴밀한 공조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대변인실은 김 대표가 3개월 만에 두번째로 한국을 방문했다며 이는 "바이든-해리스 행정부가 북한 관련 문제를 포함해 한국과 긴밀한 공조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반영하는 고위급 회담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대표의 방한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북한 문제에 관해 지속적이고, 긴밀한 협력에 대한 한미 양국의 약속을 보여준다"고 강조했습니다. (Special Representative Kim's travel to Seoul illustrates the U.S. and ROK commitment to ongoing close collaboration on DPRK issues as we seek to advance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permanen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대변인실은 이어 김 대표가 23일 마르굴로프 러시아 외교부 아시아태평양 차관을 만나 북한 문제를 논의했다고만 언급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한편 성 김 대표는 23일 한국 KBS방송과 회견에서 한미연합훈련과 관련해 "북한에 있는 우리의 친구들에게 미국은 북한에 대해 적대적인 의도가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며 우려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과 대화 재개를 희망한다는 뜻을 재확인했습니다.
성 김 대표: 저는 북한과 진지한 진전을 이룰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믿습니다. 조만간 북한 측 협상 상대들과 자리를 같이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김 대표는 또 영변 핵시설 폐기 등 북한의 일부 비핵화 조치에 대한 단계적 제재 완화 가능성에 대해 모든 범위의 문제들과 관심사에 대해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말하면서 우선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미북 정상 간 친서 교환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산적인 대화를 위해 유연하고 열린 마음으로 대처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밖에 김 대표는 한국 안보에 대한 미국의 굳건한 의지로서 주한미군을 유지할 것이라며, 북한의 도발이 있을 경우 한국 등 이해 당사국들과 협력해 적절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같은 날 김 대표는 최영준 한국 통일부 차관과 가진 고위급 협의에서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대북정책 관련 한미 양자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김 대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위한 한미 양국 간 긴밀한 공조의 필요성을 확인했습니다.
또, 인도주의와 남북 간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지지를 표명했다고 통일부는 전했습니다.
김 대표는24일 이인영 통일부 장관과 조찬을 갖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한미 간 협력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