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탄핵안의 부결로 부담이 없어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북 고위급 회담에서 합의만 이뤄진다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미국 전문가가 분석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정책 조정관은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국 여당인 공화당이 상원을 장악한 상태에서 탄핵안의 부결은 예상된 일이었기 때문에 이로 인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 :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미북 관계에 매우 만족(very content)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고위급 협상을 재개할 의지를 분명히 했고, 따라서 미북이 고위급 회담에서 합의가 이뤄질 경우 미국의 대통령 선거 이전에 정상회담을 개최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가 시급하다고 여기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여전히 핵이나 장거리 미사일 실험을 하지 않고 있고, 현재로서는 추가 도발의 징후도 보이지 않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을 앞두고 비교적 안정적인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시아보다 이란 등 중동 문제에 더 집중할 것이라고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주장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다면 중간 단계의 합의(interim agreement)가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대선 전까지 도발 보다는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려 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에반스 리비어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 부차관보는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탄핵 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트럼프 대통령이 적어도 내년 초까지는 어떤 정책(initiatives)이든 시간과 내용을 조정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9월부터 시작된 탄핵 추진 과정에서 느꼈던 미국 의회를 포함한 다른 정치적 제약으로부터의 부담을 덜었기 때문에 이전보다 더 ‘충동적(impulsive)’ 혹은 ‘파격적(unconventional)’ 대북 외교적 행동에 나서려 할 수 있다고 리비어 전 수석 부차관보는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그는 대선 전까지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한 문제는 최우선 순위가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탄핵이 부결된 것이 미북 관계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클링너 선임연구원 : 현재 미북 관계가 교착 상태에 빠진 것은 북한이 고위급 회담은 물론 정상회담까지도 거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지난해 2월 베트남 즉 윁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핵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었지만 북한의 지나친 요구로 회담이 결렬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게다가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감염증 확산 방지에 여념이 없기 때문에 당분간 미북 회담 재개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