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예정인 미북 정상회담이 연기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미국 백악관 집무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의 단독 정상회담에 앞서 기자들에게 "북한 문제가 (한미 간) 가장 큰 협력 의제”라면서 “아주 중요한 싱가포르 (미북) 회담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북 정상회담이 개최되지 않을 가능성을 거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 미북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아주 좋은 일이 될 것이고, 북한에게도 좋은 일이 될 것입니다. 만일 열리지 않는다면 그것도 괜찮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문 대통령과 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원하는 여건들이 충족 안되면 회담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시간 낭비를 원치 않을 것이라면서 내달 12일 아니어도 협상은 언제든지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의 비핵화 방식에 대해서는 "일괄타결을 선호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 단기적으로 타결된다면 좋겠습니다. 여러가지 물리적 요소로 일괄타결이 어렵다면 짧은 시간 안에 가능하다면 좋겠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CVID, 즉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전제로 김정은 위원장의 체제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는 그의 정권 보장과 관련해 “처음부터 말해왔다”며 “그의 안전을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비핵화) 협상을 타결하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 김 위원장도 과거 해보지 못한 훌륭한 위업을 거둘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최근 북한의 다소 비협조적인 태도와 관련해 김정은 위원장이 중국 시진핑 주석을 두번 째 만난 후 태도가 변한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 어떤 일이 있었을 수도, 없었을 수도 있으나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의 두번째 만남을 아무도 몰랐습니다. 그 뒤에 어느 정도 김 위원장의 태도에 변화가 있었던 것만은 사실입니다.
한미 양국 두 정상은 비공식 기자회견에 이어 약 20 분간 단독 회담을 갖고 이를 확대 회담으로 전환해 이날 회담을 모두 끝마쳤습니다.
두 정상은 단독 및 확대 회담에서 최근 북한의 대남 비난 발언으로 경색된 한반도 정세에도 북한을 미북 정상회담 협상장으로 예정대로 견인해 미국과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에 합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