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과 호주(오스트랄리아)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북한의 불법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 해결을 위한 공조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과 호주는 6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2+2 외교·국방장관 회담’ 이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고, 한반도뿐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과 전세계 평화와 안정에 중대한 위협을 제기하는 북한의 불법적인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처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The principals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achieving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address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DPRK) unlawful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which pose a grave threat not only to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he Indo-Pacific region and the world.)
성명은 이어 양국이 “지속적인 양자 및 다자간 공조를 약속하고 국제사회가 북한과 관련한 모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완전히 이행할 필요성을 재확인했다”고 언급했습니다. (They committed to continued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ordination and reaffirmed the need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fully implement all relevant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related to the DPRK.)
그러면서 “외교가 한반도의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구축에 필수적이라는 공동의 신념을 인식하며 북한이 지속적인 대화에 관여하고 상황을 불안정하게 하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고 적시했습니다. (Acknowledging their shared belief that diplomacy is essential to denuclear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incipals called on the DPRK to engage in sustained dialogue and cease its destabilizing behavior.)
또 “북한에서의 심각한 인권 침해에 대한 지속적인 보고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They noted with grave concern continuing reports of severe violations of human rights in the DPRK.)
아울러 성명은 “호주가 인도태평양을 위한 한미일 3자 파트너십(협력관계)에 대한 프놈펜 성명을 환영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윤석열 한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달 캄보디아(캄보쟈) 프놈펜에서 열린 회담 이후 대북 확장억제 강화를 위한 3국간 협력 등의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번 미국과 호주의 외교·국방장관 회담에는 미국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호주 페니 웡 외교장관과 리처드 말스 국방장관이 참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호주 정부는 최근 대북 독자제재 명단에 오른 개인 8명과 기관 6곳에 대한 제재 조치를 3년 연장했습니다.
호주 연방 입법관보에 따르면 페니 웡 외교장관은 지난달 25일, 지난 2019년 12월 제재 명단에 오른 개인과 기관에 대한 제재 조치가 이달 3일부터 연장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제재 연장 조치에는 북한 김영철 전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오극렬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북한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KOMID) 관계자인 리정철과 황수만, 김경남 조선무역은행 러시아 지부 대표, 북한과 무기거래 혐의가 있는 대만 국적 개인 3명 등이 포함됐습니다.
또 북한의 조선외국선박사업회사와 조선부연해운회사, 북한과 무기거래 혐의를 받는 미얀마 기업 1곳과 대만 기업 3곳에 대한 제재도 연장됐습니다.
호주 정부는 또 북한의 확산 활동을 도와 제재 대상에 오른 베트남(윁남) 기업 2곳에 대해 이들의 가명에 대한 정보를 제재 명단에 추가했습니다.
호주는 독자제재 대상과의 자산 거래를 금지하고 제재 대상의 자산 이용을 제한하고 있으며, 호주 입국이나 체류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앞서 유럽연합(EU) 이사회는 5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제 인권제재를 2023년 12월 8일까지 1년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인권제재 명단에 올랐던 북한 정경택 인민군 총정치국장과 리영길 국방상, 중앙검찰소에 대한 제재 조치가 연장된 바 있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