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북한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해 전혀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은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고 유엔의 러시아 규탄 결의안을 찬성했는데 북한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미국 탓이라면서 유엔 특별총회 결의안에도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은 2일 성명을 통해 한국의 러시아 제재 동참을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미국과 한국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데 함께 힘을 모아 러시아의 계획적이고 정당한 이유없는 공격에 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are standing shoulder-to-shoulder in support of Ukraine by responding to Russia's premeditated, unprovoked, and unjustified attack.)
그는 러시아에 대한 한국의 경제제재 발표는 우크라이나의 자유, 영토고권(territorial integrity), 주권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되고 규칙에 기반한 국제사회 질서를 보호하려는 한국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한국이 러시아 일부 은행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배제한 조치에 대해 지지하고 주요 러시아 은행들과의 금융거래를 금지하며 수출통제 조치를 한 것은 러시아를 국제금융체계와 교역에서 고립시키려는 국제적 노력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 한국이 국제에너지 시장 안정을 위해 전략비축유를 방출하고 우크라이나에 긴급 인도적 지원 자금으로 천만달러를 추가로 제공하기로 한 약속을 환영한다며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중단시키려는 연합과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국제사회의 연합을 가져왔다고 말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어제밤 국정연설에서 말했던 것처럼 러시아의 이 전쟁에 대한 (국제사회) 연합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세계지도자들 간에, 유럽에서, 전 세계에서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전쟁에 항의하는 연합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한국은 이날 유엔 긴급특별총회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 채택에 찬성했습니다. 이 결의안은 회원국 193개국 가운데 표결에 참석한 181개국 중 141개국의 찬성으로 압도적으로 채택됐는데 반대표를 던진 나라는 북한을 포함해 5개국에 불과했습니다.
결의안 채택에 반대한 나라는 북한과 함께 러시아, 벨라루스, 시리아, 에리트레아였고 중국과 인도, 이란, 쿠바 등은 기권표를 던진 35개국 명단 가운데 이름을 올렸습니다.
앞서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는 전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사태에 관한 유엔 긴급특별총회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위기의 근본 원인은 전적으로 다른 나라들을 향한 고압적이고 독단적인 태도에 심취한 미국과 서방의 패권 정책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사는 "미국과 서방은 법적 안보 보장을 제공해달라는 러시아의 합리적이고 정당한 요구를 무시하면서 더욱 노골적으로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 동진을 추구하고 공격무기 체계를 배치함으로써 조직적으로 유럽의 안보 환경을 약화시켰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달 28일에도 동일한 내용의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미 국무부는 2일 김성 북한대사의 이 발언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요청에 언급할 내용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기자 이상민,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