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안보리 북 ICBM 대응 무산에 “계속 노력할 것”

0:00 / 0:00

앵커 :한국 정부는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공동 대응이 또다시 불발된 데 대해 이사국들을 견인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지 시간으로 17일 열려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문제를 논의했지만, 성과 없이 끝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회의.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대부분의 유엔 안보리 이사국 주유엔 대사들은 북한의 계속되는 결의 위반을 강력히 규탄하며 우려를 나타냈지만 중국과 러시아 대사가 북한 내부적 사정과 미국 측 책임을 강조하면서 회의는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종료됐습니다.

이날 회의는 북한이 지난 13일 처음으로 고체 연료를 사용한 ICBM '화성-18형'을 시험 발사한 직후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의 요청에 따라 소집됐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18일 유엔 안보리 차원의 공동 대응이 또다시 불발된 것과 관련해 "안보리 이사국들을 견인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서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의 말입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한국 정부는 북한의 반복되는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해 안보리 차원의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북한이 비핵화 대화로 복귀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담대한 구상'을 바탕으로 북한의 핵 위협은 억제하고 핵 개발은 단념 시키며, 외교와 대화를 통해 북한 비핵화를 이뤄간다는 총체적인 접근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안보리 이사국들과 한반도 평화 및 안정을 위해, 또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계속 긴밀히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러시아 측 입장과 관련해 "일부 이사국에 대해서는 양자 외교 통로로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필요성을 계속 협의·소통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최근 유엔 안보리가 북한 ICBM 발사 등에 대응해 제재 결의나 의장성명을 채택하려 시도할 때마다 반대 입장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G7, 즉 주요 7개국 외교장관은 18일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거듭되는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장관들은 일본에서 이날까지 사흘 동안 열린 회의 끝에 채택된 성명에서 "북한이 전례 없는 빈도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며 "이는 복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반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북한의 행위는 지역 내 안정을 해치고 국제 평화와 안전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하고 있다"며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개발을 포함해 불안정을 가져오는 도발적 행위를 자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북한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대량살상무기(WMD)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 포기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흔들림 없는 의지를 표명하고, 북한에 핵확산금지조약(NPT)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조치를 완전히 준수할 것과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에 서명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주요 7개국 장관들은 북한이 한국과 미국, 일본의 대화 요구에 응하고 인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에 대항하기 위해 협력하겠다는 입장도 함께 내놓았습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