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 가능성 등의 논의를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를 요청한 가운데,유엔은 안보리 활동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할 수 없다면서도, 논의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대변인실은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유엔은 안전보장이사회가 별도의 기관인 만큼 안보리 활동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지만,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가져올 논의를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The UN doesn’t comment on the work of the Security Council, as it is a separate organ, but of course we welcome any discussion that will lead to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유엔 대변인실은 오는 11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도발 확대 가능성 등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소집된 데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요청에 10일 이같이 답했습니다.
앞서, 북한이 7일 서해 동창리 위성발사장에서 ‘중대한 시험’을 했다고 발표해, 최근 중단해 온 ICBM, 즉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을 재개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아울러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 외무부도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미국과 의미있는 비핵화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영국 외무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도발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도발은 한반도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한 노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영국 외무부는 북한이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 참여하고,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를 향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행정부 고위당국자는 10일 '세계인권선언의 날'을 맞아 진행한 전화 설명회에서 11일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 미사일 도발 뿐만 아니라 북한 인권 문제도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고위 관리는 안보리 북한 인권 회의가 10일 취소된 이유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11일 열리는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 인권 사안도 다룰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회의에서 북한 미사일 시험발사 등 최근 상황이 포괄적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미국 민주당 소속 에드워드 마키 상원의원은 10일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관련 회의가 개최되지 않은 사실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마키 의원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우리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감축하고 동결하려 노력하는 순간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구 어느 곳에서나 인권을 위해 싸우는 미국의 도덕적 지도력을 훼손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유럽 회원국은 북한 인권을 주제로 한 안보리 회의를 10일 개최하려고 했지만, 미국이 이 회의 대신 11일 회의를 소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