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회담서 북핵 논의···향후 양국 협력 관심

0:00 / 0:00

앵커: 미국과 중국의 고위 외교 관리들이 26일 회담을 갖고, 북한 문제를 논의한 가운데 향후 양국 간 이와 관련한 협력이 이뤄질 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아시아 순방에 나선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26일 중국 텐진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만나 인권 문제, 사이버 공격, 코로나 19(코로나비루스) 등 각종 현안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측 간 회담 이후 국무부가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셔먼 부장관은 이밖에도 기후위기, 마약, 비확산, 북한, 이란,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등 세계적 관심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회담에서 나온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실은 미중 간 북핵문제 논의 사항과 중국 측의 입장을 묻는 2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문의에 "성명 외 덧붙일 내용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이에 앞서 국무부 측은 셔먼 부장관이 중국 측과의 회담에서 북한 문제를 의제로 다룰 것이라고 말한 점으로 미뤄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협력을 요청할 것이란 관측이 있었습니다.

실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6일 미중 외교회담 후 발표에서 "미국은 북한 핵 등의 문제에서 중국의 협력과 지지를 요청했다"며 "중국은 이런 문제에 늘 책임감을 가지고 건설적 역할을 해왔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민감한 사안들을 두고 양국 간 설전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지만 북한 핵 문제와 기후 변화 등에 있어서는 미중 모두 협력의 여지를 열어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비핵화에 대해 미중 간 협력점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북한 전문가인 동서문화센터의 데니 로이 선임 연구원은 최근 외교전문지 '더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북한 문제에 대한 미중 간 협력을 주제로 기고한 글에서 양국 모두 북한 비핵화를 지지하지만, 둘의 관계는 피상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 역시 당역 안정화를 위해 북한의 비핵화를 원하지만 그 궁극적인 목적이 미국과 그 동맹국인 한국, 일본과는 다르기 때문에 진정한 협력 파트너가 되기 어렵다는 설명입니다.

로이 선임 연구원은 김정은 정권의 붕괴를 원치 않는 중국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완화를 주장하는 등 미국과 다른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미중갈등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중국이 '북한'을 자신들의 지렛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양국이 우호적 협력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다고 로이 연구원은 덧붙였습니다.

기사 작성 자유아시아 방송 김소영 기자,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