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코로나19 비상 선포…“한국 내 위협 때문 아냐”

0:00 / 0:00

앵커: 주한미군은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감염증 대응을 위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과 관련해 한국 내 신형 코로나 위협 증가에 따른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5일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감염증 대응을 위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주한미군사령부.

주한미군은 이날 보도 자료를 통해 WHO, 즉 세계보건기구가 전 세계 경고 수준을 '매우 높음'으로 격상하고 미 국무부가 전 세계 여행을 금지하는 4단계 경보를 선포했다며 주한미군 시설 인접 지역으로 신형 코로나 노출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비상사태를 선포했다고 밝혔습니다.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지난 25일): 저는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군대를 보호하는 권한을 행사하기 위해 주한미군사령부와 주한미군 군사시설에 대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비상사태는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이 연장하거나 조기 종료하지 않는 한 다음 달 23일까지 효력을 유지합니다.

주한미군 시설에 출입하는 군인과 군인 가족, 미 국방부 직원, 한국인 직원 등은 '군 보건 방호태세' 등의 준수사항을 따르지 않는 경우 미군 시설에 2년 간 출입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앞서 미 국방부도 미국에 귀환하거나 해외에 파견된 모든 미군 병력의 이동을 60일 동안 금지하는 등 신형 코로나 확산 방지 조치를 취한 바 있습니다.

다만 주한미군 측은 이번 결정이 현재 한국 내에서 시행 중인 예방조치의 변화나 위험단계 격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사령관이 직접 예방 조치 시행 등을 지시할 수 있도록 권한 확대가 이뤄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주한미군은 26일에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주한미군 장병 등 구성원들에게 보내는 서신을 공개하며 이번 비상사태 선포는 지휘관들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 내 신형 코로나 확산이나 위협 증가에 따른 것은 아니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주한미군 측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26일 현재 주한미군 내 신형 코로나 확진자가 군인 1명과 군인 가족 2명을 비롯해 모두 10명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25일 평택 주한미군 기지 내 근로자의 아내가 남편에 이어 신형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사례를 포함한 수치입니다.

주한미군은 지난달 18일 대구·경북지역 신형 코로나 확진자 급증에 따라 위험단계를 '낮음'에서 '중간'으로 높였고 같은 달 25일에는 한반도 전역의 위험 단계를 '높음'으로 격상해 유지하고 있습니다.

로버트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와 함께 적이나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기 위해 오늘 밤에라도 당장 전투에 나설 수 있는 수준의 준비태세를 유지하며 강력한 한미 연합 방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