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당국이 '남북관계에서 미국은 빠지라'고 한 발언은 한미 간 갈등을 조장하기 위해서라는 미국 전문가의 지적이 나왔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북한의 권정근 외무성 미국담당 국장은 11일 북한 관영매체를 통해 "남북관계는 우리 민족 내부 문제로서 그 누구도 이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시비질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지난 9일 북한의 남북 연락통로 전면 차단에 대해 미국 국무부 대변인이 "우리는 북한의 최근 행보에 실망했다"면서 "북한이 외교와 협력으로 돌아오기를 촉구한다"고 밝힌 것에 대한 반응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대해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 국장은 11일, 권 국장의 발언은 잠재적으로 한국 내부에서 한미 간 갈등을 조장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또, 북한은 현재 그들이 원하는 것을 그 누구도 이뤄줄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교착상태에 빠져있는 외교적 협상으로 되돌아 가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고스 국장: 북한은 미국을 비판할 때 주로 하급 간부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것은 북한 고위 간부가 직접 그런 말을 하고 싶지 않을 때 시도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이것은 언젠가 있을 수 있는 미국과의 관계 개선 가능성에 대한 여지를 남겨두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북한은 지금 당장 외교에는 관심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려고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인 고든 창 변호사는 같은 날 전자우편을 통해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권 국장이 언급한 '끔찍한 일'이라든가 '대통령 선거 방해' 언급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화나게 할 뿐 그들이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을 것"이라면서 "한국과 미국을 떨어뜨려 놓으려는 의도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미국의 마크 배리 국제세계평화학술지 편집장은 "6.25 한국전 이후 전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작은 돌 하나라도 군사적 대응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만큼 북한으로의 전단지 풍선 북송은 중단되어야 한다"면서 "이번 권 국장의 발언은 지난해 말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겠다던 위협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여 큰 의미를 두고 싶지 않지만 한미 관계와 남북관계 모두 내리막길로 가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11일 전자우편으로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한편, 권정근 국장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 요청에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는 11일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