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19 장기화 문제에 직면한 북한이 미북협상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존 브레넌(John Brannan) 전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4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개최한 화상회의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코로나 19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미국과 핵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브레넌 전 국장: 코로나 상황은 김정은 위원장을 좀 더 협조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일은 없겠지만 미국으로부터 현재 절실히 필요한 지원을 얻기 위해 협상을 할 여지는 있습니다.
브레넌 전 국장은 또 미국의 차기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정책에 관해 더욱 현실적인 접근법을 취할 것이라며, 정상회담 대신 고위 관리급 실무회담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미국이 북한과 진전을 보기 위해 북측에 인센티브, 즉 장려책을 제공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수미 테리 선임 연구원 역시 코로나 19 사태를 북한과 대화 재개를 위한 계기로 삼을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테리 연구원은 북한이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오랫동안 스스로 고립에 들어가면서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특히 북한이 최근 한국, 영국 등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개발회사들에 대한 해킹을 시도했던 점을 거론하며, 북한이 백신을 얻기 위해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테리 연구원: 현재 북한의 최우선 사안 중 하나는 백신이기 때문에 북한이 국제사회에 백신 지원을 요청할지 궁금합니다. 이는 인도주의 지원 차원 뿐 아니라 외교적으로 북한과 재관여할 잠재적인 지렛대가 될 수 있습니다.
테리 연구원은 북한이 주요 도발을 자제하면서 바이든 행정부의 움직임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바이든 행정부가 앞으로 6개월 내 북한에 어떠한 메시지도 내놓지 않을 경우 북한이 다시 도발로 돌아설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테리 연구원은 또 한국 정부가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돌파구를 찾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지만 미북협상이 진행되기 전까진 진전을 보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북한이 코로나 19 장기화로 국경을 2년 이상 폐쇄할 경우 정권이 붕괴될 위험에까지 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차 석좌는 지난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 즉 메르스가 발생했을 당시 1년 가까이 국경을 폐쇄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상황이 더욱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코로나 19로 북한이 입는 타격은 훨씬 더 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이 생존을 위해 미국과 대화 재개를 시도할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북한은 과거 사스, 메르스 등 세계적 전염병이 발생할 때마다 곧바로 국경 폐쇄 조치를 내린 바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