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차 미북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준비 회담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1일 2차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강 장관은 이날 더불어민주당 한반도비핵화대책특별위원회가 주최한 강연에 참석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히며 “최근 동향으로 볼 때 미북 정상회담 개최 준비를 위한 회담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한다”고 말했습니다.
미북 정상회담 개최 장소에 대해서는 “아직 미북의 현장 답사 움직임을 포착한 것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양측이 후보지 몇 곳을 두고 협의 중인 상황은 파악했다고 말했습니다.
강 장관은 이어 “미북 후속 협상이 조속히 개최돼 미북 간 대화의 추진력이 유지돼야 한다”며 “미국 내 일각에서 미북대화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되는 만큼 세심한 국면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4차 방중에 대해서는 “(양측이) 북중 간 긴밀한 유대 관계를 과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이 2차 미북 정상회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등을 앞두고 중국과 전략적 소통, 공조를 강화했다”는 겁니다.
강 장관은 한국 정부가 한반도의 평화 정착을 위해 관련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미북 정상회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러시아 방문 등 한반도를 둘러싸고 굵직한 외교 일정이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겁니다.
강 장관은 “한국 정부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통해 남북관계와 비핵화의 획기적인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며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조를 결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강 장관은 “북한 취약계층을 위한 대북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분리돼야 하며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개성공단 재가동 문제에 대해선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연동돼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특히 대량의 현금이 북한으로 유입되지 않는 방식을 먼저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의 고위당국자도 지난 10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는 문제는 쉽지 않다고 언급했습니다.
지난 2013년 3월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094호는 대량의 현금의 북한 유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2016년 11월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 2321호에 따르면 유엔 회원국들은 은행 계좌를 통한 대북 송금을 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이 재가동되면 북한 근로자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급여를 전달할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한국 정부의 고위당국자는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는 김정은 위원장이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문제임은 분명하다”며 “(다만 이 문제들이) 제재 면제를 받기까지는 굉장히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올해 종전선언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이 고위당국자는 “종전선언은 평화체제로 나가는 핵심적인 부분”이라며 “비핵화 과정에 있어서도 북한이 더 편안하게 비핵화를 할 수 있는 견인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