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제2차 미북 정상회담이 곧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궁극적으로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지만 국제 평화를 위해 양국간 회담은 여전히 필요한 과정이라고 15일 한반도 전문가가 밝혔습니다.
뉴욕에서 정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의 설립자이자 한반도 분석 연구기관 ‘코리아리스크그룹(Korea Risk)’의 대표 채드 오캐럴씨는 “미북 정상회담이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내기는 힘들지만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해 매우 필요한 과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채드 오캐럴] 미북 정상회담의 보다 현실적인 목표는 미국을 향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위협을 줄이기 위한 북한의 군사력 억제를 위한 논의에 있습니다.
15일 뉴욕의 민간단체 코리아소사이어티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오캐럴 대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지만 “여전히 북한과 대화창을 열어두는 것은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토론회 연사로 참석한 유엔독일대표부의 얀 야노비스키 외교관도 “지난 12월 성명과 최근 신년사 등 북한의 입장을 볼때 국제사회가 북한에 요구하는 CVID, 즉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 수준에는 한참 못미치지만 진행중인 회담 준비 과정에서 양측 간 보다 허심탄회한 대화가 오고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야노비스키 외교관은 “현재 정상회담을 준비 중인 실무진보다는 외교관이나 실무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이 투입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오캐럴 대표도 차기 정상회담의 실효를 위해 전문가들이 투입될 필요에 동의하면서 “1차 회담에서보다 구체적인 논의들이 세부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차기 정상회담의 주요 당면 과제 중 하나로 대북제재 완화가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이날 전문가들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불법 행위가 계속되고 있지만 제재 이전과 이후를 비교할 때 북한이 제재로 인해 받고 있는 압박은 크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