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다음주 개최되는 미북 정상회담에서 성공적인 북한 비핵화 논의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북한과 중동 우방국들 사이 군사 관련 교류를 중단시킬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7일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워싱턴근동정책연구소(WINEP)에서 열린 북한과 중동 국가 관계에 대한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북한과 중동 국가 간 핵확산 방지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비핵화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앤서니 루지에로 미국 민주주의수호재단 선임 연구원은 북한이 오랫동안 이란, 시리아와 같은 중동 국가들에 핵 · 미사일 기술이나 부품을 제공하고, 그 댓가로 자국의 핵무기 개발을 위한 외화벌이를 해왔다며 이러한 불법 거래가 반드시 단절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루지에로 연구원 : 애석하게도 이번 회담은 비핵화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그러나 미북회담을 성공적으로 이어가기 위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 측에 반드시 이들(이란, 시리아) 국가와의 거래를 중단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루지에로 연구원은 이밖에도 이집트 카이로 경기장 건설 현장 등 많은 중동 국가들에 강제 노동에 시달리는 북한 노동자가 파견되고 있다며 미국은 북한과 협상할 때 이에 대한 문제도 다뤄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 전문가인 미국 국방연구원(IDA)의 오공단 책임 연구원은 대북제재로 궁지에 몰린 북한이 자국 경제개발을 위해 정상회담이란 ‘쇼’를 하는 것 뿐이라며, 중동 국가에 대한 북한의 군사 기술과 물품 수출은 쉽게 중단되지 않을 것이란 회의적 시각을 나타냈습니다.
오 연구원 : 북한은 가격, 시기, 조건만 맞는다면 해외에 대량살상무기(WMD)를 판매, 수출할 것입니다. 북한 내부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변하지 않는 이상 계속해서 미국의 골칫거리로 남을 것입니다.
한편 중동 전문가인 제이 솔로몬 박사는 미국과 유엔이 최고 수준의 대북제재를 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감시의 눈을 피해 중국, 싱가포르 등 제 3국의 판매망을 이용해 중동 국가들과 군사 거래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대북제재가 100% 완벽하지 않다 하더라도 미북회담에서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을 보이지 않을 경우 더 강도 높은 대북제재가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