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 싱가포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역사적인 첫 미북 정상회담을 한 뒤 한미연합훈련 중단과 조만간 한국전쟁 종전을 선언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또 인권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조만간 김 위원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싱가포르에서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한 뒤 싱가포르 센토사섬의 카펠라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한미 군사훈련 중단 의사를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우리가 훈련을 오래 해왔습니다. 큰 비용을 지불하는데요, 괌에서 6시간씩 날아와 훈련하고 다시 괌으로 돌아가는 데 정말 많은 비용이 듭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한미 군사훈련 중단 발언은 대북 적대행위의 중지 의사를 설명하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하지만 주한미군 철수는 현재로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미래에 주한미군의 규모를 감축하길 원한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안전보장의 일환인 종전선언이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북한의 미사일 엔진 실험장 폐쇄를 약속했다고 밝히고 미국과 국제사회가 많은 인력을 투입해 비핵화의 이행을 검증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완전한 비핵화를 이룰 때까지 대북제재는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덧붙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완전한 비핵화에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겁니다. 과학적으로도 그렇습니다. 제재 해제는 핵무기에 관한 우려가 없어질 때까지 유지하겠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언급도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가 주요 안건이었지만 인권 문제도 짧게 언급했다며 김 위원장도 해결 의지가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적절한 시기에 평양 방문을 기대한다고 밝혔고 김 위원장 역시 적절한 시기에 백악관에 초청할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이를 수락했다고 공개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합의문에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가 명시되지 않은 것은 북한에 양보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합의문에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가 담겨 있다며 더는 명확하게 할 수 없다고 항변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더 명확하게 할 순 없습니다. 양국 관계를 새롭게 하자고 했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합의문에 포함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김 위원장과의 회담이 정직하고 생산적이었다고 평가하면서 만족감을 나타냈습니다.
두 정상은 공동 합의문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북한의 평화체제 보장, 미북 관계의 정상화, 한국 전쟁 당시 숨지거나 실종된 미군 유해의 발굴 재개와 송환 등 4가지 의제에 합의하고 이른 시일 내에 이를 이행하기로 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