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미북정상회담, 중간선거 앞둔 트럼프는 원해”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동합의문에 서명을 마친 뒤 처음 만났던 장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동합의문에 서명을 마친 뒤 처음 만났던 장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 미국 백악관은 1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차 미북 정상회담을 요청하는 친서를 보냈다며, 이미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들은 지난 6월 1차 정상회담 이후 비핵화 논의에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거론되는 2차 회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의 리처드 부시 선임연구원은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현 상황에서 2차 미북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은 ‘안좋은 생각’(bad idea)이라고 단정했습니다.

싱가포르 회담 이후 미북 간 이렇다 할 비핵화 논의가 진전되지 않았는데 또 다시 회담을 갖는 것은 미국 전체의 입장이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개인이 원하는 것이란 게 부시 연구원의 지적입니다.

그는 2차 미북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 간 이견이 있을 수 있다며, 11월 중간 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적 성과 과시를 위해 회담을 서두르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부시 선임연구원 : 국무부와 국방부 등 행정부 측에서 2차 미북 정상회담 개최를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할지 확실치 않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과를) 과시하기 위해 (오는 11월) 중간선거 전 회담을 개최하길 원할 것입니다. (It's not completely clear that officials and state department, defense department actually think that a summit is a good idea right now. Trump would probably want to do it before the elections to show off.)

부시 연구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한국, 중국과 함께 종전선언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반도 전문가인 고든 창 변호사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회담 요청에 응하면 안된다”고 강력히 주장했습니다.

그는 과거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 북핵 6자회담에 진전이 있는 것으로 여겼던 것은 실수였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2차 미북 정상회담에 응하는 것은 이와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의회에서도 2차 미북 정상회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민주당 소속 존 개러멘디(John Garamendi) 연방 하원의원은 11일 미국 MSNBC 방송에 출연해 2차 미북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과 관련해 “핵문제 해결을 위한 길은 오직 협상(negotiation) 뿐”이라면서도 “김 위원장은 선대와 같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은폐해왔으며 결국 자신이 원하는 합의(settlement)를 이끌어내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조심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밥 메넨데즈(Bob Menendez) 상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간사는 자신의 인터넷 사회관계망 서비스 트위터에 회담을 하는 것은 좋지만 싱가포르 회담이 보여주듯이 실질적인 (비핵화) 정책이나 전략은 부재했다면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검증가능하게 되돌릴 수 있는(roll back) 정교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