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한국 방문이 마무리된 가운데 한국 정부는 차분하면서도 신중하게 후속조치 검토에 착수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우선 북한 대표단의 방남 결과를 미국 정부에 설명하고 미북대화가 재개되도록 외교력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이번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을 계기로 향후 여건 조성시 남북 정상이 한반도 문제를 협의할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분단 이후 최초로 북한 헌법상 국가수반과 북한 최고지도자 직계 가족이 우리 측 지역을 방문하였습니다. 이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북한의 의지가 매우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봅니다.
한국 정부는 남북대화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남북관계와 비핵화 문제의 선순환 구도가 마련되도록 노력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김정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을 초청한 데 따른 ‘여건 조성’을 위해 미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외교력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건은 미북 대화가 조기에 이뤄지도록 중재하는 겁니다. 미북대화가 선행되지 않는 한 문 대통령의 방북과 남북 정상회담 추진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 간 소통창구를 통해 북한 대표단의 방남 결과를 공유한 뒤 가까운 시일 내에 정상간 통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정 실장이 미국측에 방남결과를 설명한 뒤 직접 워싱턴을 방문해 후속대응 방향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과의 대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만큼, 한국 정부는 북한의 정확한 의중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한에 대해서는 비핵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대화에 나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설득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특사 파견의 필요성도 제기되지만 한국 청와대는 아직 특사 파견 문제를 논의할 시기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한국 통일부는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과 관련한 후속조치는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관계부처간 협의를 통해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