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 국무부는 한국에서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북한의 최고위 인사의 만남이 예정됐지만 마지막 순간에 북한의 통보로 취소됐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무부의 헤더 노어트 대변인은 20일 발표한 성명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참석을 위해 한국을 방문했던 펜스 부통령이 한국에서 북한 대표단과 만나려 했지만 회담 직전 취소됐다고 밝혔습니다.
노어트 대변인은 펜스 부통령이 올림픽에 참가하는 미국 선수들을 격려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동안 북한 대표단과의 약식 회담 논의가 급히 진행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펜스 부통령은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2박 3일의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노어트 대변인은 펜스 부통령이 북한 대표와 만나면 북한의 핵ㆍ미사일 개발 포기를 위한 미국 정부의 정책을 재천명하려 했지만 북한 당국자들이 회담 직전 불참을 통보해오면서 미북 대화가 무산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노어트 대변인은 북한이 대화의 기회를 포기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할 때까지 북한에 대한 외교적, 경제적 고립을 심화시키는 미국 정부의 최대 압박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펜스 부통령이 방한 중 북한 대표와 회담하려다 무산됐다는 내용은 미국의 일간지 워싱턴포스트가 이날 보도하며 알려졌습니다.
이 신문은 펜스 부통령실과 백악관 관계자들을 인용해 평창 올림픽 개회식 참석차 방한한 펜스 부통령이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 지난 10일 회담을 할 계획이었다고 전했습니다.
올림픽 기간 중 미북대화를 성사 시키려는 논의는 펜스 부통령이 한국으로 떠나기 2주 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됐습니다.
북한이 펜스 부통령을 한국에서 만나고 싶어한다는 의향을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전달 받았으며 한국 정부가 이를 중재했다고 워싱턴 포스트는 백악관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펜스 부통령은 이미 지난 5일 아시아 순방길에 오르기 전 북측의 초청을 받아들이기로 했지만 방한 일정을 시작한 8일까지도 만남의 구체적인 일정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결국 미국과 북한 대표들은 올림픽 개막식 다음 날인 10일 오후 청와대에서 만나기로 합의했습니다.
회담에 한국 정부 관계자는 참석하지 않을 예정이었고 청와대는 양측 보안 요청을 받아들여 중립적인 회담 장소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회담은 만남 2시간 전 북측에서 취소 통보를 해오면서 불발됐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펜스 부통령이 지난 9일 탈북자들과 천안함 기념관을 방문하고,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 정책을 멈추지 않을 것으로 강조한 시점에 회담이 취소됐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