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김정은, 내달 미북 정상회담 개최 목표…이르면 이달 실무회담”

0:00 / 0:00

앵커 : 한국 국가정보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다음 달 미북 정상회담 개최를 목표로 관련 일정들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가정보원은 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북 정상회담을 12월에 개최하는 것을 목표로 정해 놓은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이 11월 중, 늦어도 12월 초에는 미국과의 실무회담을 가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국회 정보위원장인 이혜훈 바른미래당 의원은 이날 국정원을 대상으로 열린 비공개 국회 국정감사 기자설명회에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이혜훈 의원은 “북한 입장에서는 미북 정상회담의 12월 개최를 목표로 잡고 있을 것”이라며 “(그렇다면) 미북 정상회담 전의 실무협상은 12월 초까지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 국정원의 합리적인 추측”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한국 국정원은 김 위원장의 연내 방중 가능성도 주시하고 있습니다.

북중이 수교 70주년을 계기로 김 위원장의 방중 문제를 협의하고 있다는 겁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두 차례의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난 바 있어 이번에도 이 같은 행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입니다.

여야 정보위 간사들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 발사대를 활용해 쏠 수 있다는 국정원의 분석도 전했습니다.

야당 정보위 간사인 이은재 자유한국당 의원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ICBM을 이동식 발사대에 싣고 특정 지점으로 이동해 발사대를 거치해 쏠 수 있다는 국정원의 답변을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이혜훈 의원은 “북한이 과거엔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한 적이 있으나 최근에는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서 이동식 발사대는 이동용으로만 사용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북한이 고체연료를 활용해 ICBM을 쏠 능력까지 확보한다면 한국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북한 미사일 발사의 사전 징후 포착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이은재 자유한국당 의원 : 최근 미사일이 액체연료에서 고체연료로 가고 있는데 한국에서 인식하기가 어렵다는 겁니다. 한국에 굉장히 위협적인 요인이 됩니다.

다만 여당 정보위 간사인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아직 북한이 고체연료 단계까지 가지 않았다는 게 국정원의 판단”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국정원은 북한이 신형 잠수함에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장착해 시험발사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달 2일 발사된 SLBM의 탄두탑재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한국 국정원은 지난 7월 SLBM 발사관으로 추정되는 부분이 가려진채 공개된 북한의 신형 잠수함의 건조 공정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이에 관련 동향을 추적 중입니다.

북한의 신형 잠수함은 신포조선소에서 건조 중입니다. 이 잠수함은 전폭 약 7m, 전장 약 80m의 규모로 기존 로미오급 잠수함을 개조한 것이라는 게 국정원의 설명입니다.

한국 국정원은 지난 해 5월 폐기된 풍계리 핵실험장의 갱도 입구가 잔해들이 방치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풍계리 경비부대가 있는 위치는 지난 여름 태풍의 피해로 복구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또한 한국 국정원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복 동생인 김평일 주체코, 체스꼬 북한 대사가 교체돼 곧 북한으로 귀국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대사 누나의 남편인 김광석 주오스트리아 북한 대사도 교체돼 귀국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한국 국정원은 “김평일 대사가 조만간 교체돼 귀국할 것으로 보인다”며 “김평일 대사의 누나인 김경진의 남편도 교체돼 귀국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한국 국정원은 아직 김 대사가 귀국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김평일 대사는 지난 1988년 헝가리, 웽그리아 대사로 부임한 이후 현재까지 북한 땅을 밟지 못했습니다.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 잠깐 귀국했지만 당시 북한 방송에서 김평일 대사와 그의 어머니인 김성애의 모습은 삭제돼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김평일 대사는 헝가리와 불가리아 즉 벌가리아, 핀란드, 폴란드, 즉 뽈스까 대사를 거쳐 현재의 체코 대사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