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을 방문한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미북대화 재개와 관련해 공은 북한 쪽에 있다며 북한이 여전히 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한국을 방문한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12일 한국의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미북대화 재개와 관련해 "공은 북한의 코트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북한의 답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북한에 적대적 의도가 없다"면서 "우리는 전제조건 없이 (북한에) 관여하려는 의사를 밝혔지만 현재까지 북한은 이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다만, 최근 한미 간 이견 논란이 불거졌던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긴밀하며 생산적"인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또 "(종전선언과 관련해) 진전이 이뤄질 수 있을지를 전망하는 것은 어렵지만 이 문제와 관련해 동맹인 한국과의 협의는 긴밀하고 집중적이며 생산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한국이 제시하는 어떤 사안에 대해서도 언제나 진지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코로나19, 즉 신종 코로나비루스 백신의 대북지원에 대해서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목표에 초점을 맞추는 가운데서도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도외시해서는 안 된다"며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할 의사가 있고 이를 위해 계속 협력할 것"이라면서 열려있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대북제재 완화나 한미연합훈련 중단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최근 지속하고 있는 미사일 실험에 대응해 유엔 안보리 결의 및 이에 따른 다양한 제재를 계속해서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미연합훈련은 오래 지속돼 온 것으로 순수하게 방어적인 성격이며 한반도와 그 외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한다"면서 그동안 북한이 요구한 사안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습니다.
한편, 다음 주 개최될 것으로 보도된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가 거론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미중관계의 양상은 경쟁이라고 정의할 수 있지만, 그 경쟁이 책임 있는 방식으로 이뤄지기를 바란다"면서 "우리는 충돌로 이어질 수 있는 오판의 가능성을 피하고자 하며 이것이 연내 개최될 화상정상회담의 목적"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자 홍알벗,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