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석열 한국 대통령 당선인의 대미·대북 정책을 미국 측에 설명하고 조율하기 위한 한미 정책협의 대표단이 미국 방문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지 시간으로 3일 미국 워싱턴 DC 덜레스 공항에 도착해 기자들과 만난 한미 정책협의 대표단.
윤석열 한국 대통령 당선인의 대미·대북 정책을 미국 측에 설명하고 조율하기 위한 미국 방문으로, 단장인 박진 국민의힘 의원은 “미 행정부와 의회, 싱크탱크를 방문해 한미 동맹을 정상화하고 양국 관계를 튼튼한 기반 위에 올려놓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대화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과의 내실 있는 정책 협의를 위해 전문성을 고려한 7명으로 대표단을 꾸렸다는 설명입니다.
박 의원은 미국 측이 한국 새 정부에 상당한 기대를 하고 있는 것 같다며, 특히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는 등 엄중한 한반도 상황에서 미국의 안보 공약과 한미 동맹 발전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박진 한미 정책협의 대표단장 : 이번 기회에 허심탄회하게 양국 간에 공통의 국익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 특히 북한이 ICBM을 발사해서 도발하고 있는데 한반도 안보 상황이 엄중합니다. 그래서 미국의 안보 공약, 한미 동맹의 포괄적인 전략 동맹을 위해서 할 수 있는 방안들이 무엇인지 심도 깊게 논의를 해보겠습니다.
대표단은 윤석열 당선인의 친서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할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한반도 안보 상황이 엄중하고 한미가 동맹으로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지역 및 세계적인 문제에 대해 깊이 협력해야 할 현안이 많다”며 이에 대해 포괄적인 전략 동맹을 다질 수 있는 주제를 놓고 실질적인 합의를 해오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 새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와 관련해서는 원칙 있고 상식이 통하는 남북 관계 정상화를 제시했습니다.
박진 한미 정책협의 대표단장 : 기본적으로 대북 정책은 원칙 있게 할 것입니다. 남북 간에 상식이 통하는 관계, 남북 관계를 정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박 의원은 “북한이 만약 비핵화에 실질적으로 나서면 한국이 대북 지원이나 경제 협력을 할 수 있는 유인책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미가 대북 대화의 문을 열어놓고 북한이 선택해야 할 길은 비핵화라는 방향을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청사진, 즉 북한이 어떤 조처를 취해야 할지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바텀업’, 즉 상향식 의사결정 방식을 통한 대북 정책에 대해서는 한국 새 정부도 같은 입장이라면서, 북핵 문제는 정상들이 갑자기 결정한다고 풀리는 문제가 아니며 현실적이고 검증 가능한 청사진을 마련한 뒤 그를 바탕으로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것이 순리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과 윤 당선인 간의 한미 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해선 “기본적으로 한미 동맹을 강화하고 양국 관계를 돈독히 하는 차원에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이야기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어 다음 달 일본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진 ‘쿼드’ 정상회의를 언급하며 “바이든 대통령이 아시아 방문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그러면 한미 정상회담도 자연스럽게 열리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가능성에 대해서는 “기회가 있으면 또 말하겠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대표단은 이날 오후 워싱턴 DC에 있는 한국전쟁 참전 기념비를 둘러보고 헌화한 뒤 저녁에는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등과의 만찬 회동을 시작으로 방미 일정에 돌입했습니다.
미 국무부에 따르면 4일 오후 웬디 셔먼 부장관을 면담하는 대표단은 5일 이후엔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방부, 상무부 등 미 행정부 관계자 및 의회 상·하원의 한반도 관련 주요 상임위원장 등을 만납니다.
워싱턴 내 싱크탱크 관계자들도 잇따라 만나 윤 당선인의 대미정책과 대북정책 등을 설명하고, 한미동맹 관계를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논의를 할 예정입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