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B-52H 폭격기∙F-22 스텔스기 한반도 전개…한미 연합훈련

0:00 / 0:00

앵커 :북한이 핵∙미사일 위협과 도발적 발언을 이어가는 가운데 미국의 B-52H 전략폭격기와 F-22 스텔스기가 한반도에 출격해 한미연합공중훈련에 참여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미 공군은 20일 미국 전략폭격기 B-52H의 한반도 인근 전개를 계기로 연합훈련을 실시했습니다.

한국 국방부가 이날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번 훈련은 미국의 스텔스전투기인 F-22와 한국의 F-35, F-15K 전투기가 참여한 가운데 제주도 서남방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일대에서 진행됐습니다.

일본에 주둔 중 이날 한국 군산기지에 전개된 미 공군의 F-22는 이번 주 한국에 머무르며 한국의 F-35A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5세대 스텔스전투기이자 미국의 전략 무기인 F-22가 한반도에 출격한 것은 이번이 4년여 만입니다.

한국 국방부는 미국의 대표적인 확장억제 자산인 전략폭격기의 한반도 전개 상황 하에 진행된 이번 훈련을 통해 한미 최신예 전투기들이 전략자산 엄호 절차를 숙달해 한미간 상호운용성 향상과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전략폭격기와 F-22 전투기의 전개는 미국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의 일환이라고 설명하며 한미는 앞으로도 미국의 확장억제를 포함한 동맹의 능력과 태세를 지속 강화하고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연합방위태세를 더욱 확고히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한미 국방장관은 지난달 3일 제54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미국 전략자산을 적시적이고 조율되게, 빈도와 강도를 증가해 운용’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북한이 이날 관영매체를 통해 선제적 핵공격 가능성을 거론한 것과 관련 한국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협력을 바탕으로 확고히 대응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히며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의지를 단념시키기 위해서는 한미일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가 단합된 목소리로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흔들리지 않고 단호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외교부의 임수석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김여정 당 부부장이 담화를 통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정상 각도 발사를 위협한 것에 유감을 표하며 북한이 추가 중대 도발을 감행할 경우 국제사회와 함께 엄중히 대응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 :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ICBM 정상 각도 발사 등 추가 도발을 위협하고 있는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한국 정부는 굳건한 한·미·일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북한이 추가 중대 도발을 할 경우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하고 엄중히 대응해 나갈 예정입니다.

북한의 불법 유류 환적에 한국 업체 ‘이스턴 펙’이 연루됐다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보도와 관련 임수석 대변인은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한 정보를 최근 입수하고 사실 규명을 포함한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관계기관이 관련 업체와 선박에 대해 수사 중인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지난 16일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를 인용해 이스턴 펙이 빌린 러시아 선박이 지난 1일 중국 선박에 유류를 운송했고 이는 지난 5일 북한 선박에 불법 환적됐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의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날 위원장 명의의 성명을 내고 지난 15일 제77차 유엔 총회에서 북한인권 결의가 채택된 것을 환영하며 북한인권 개선을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번 북한인권 결의가 북한 당국에 강제실종 피해자의 유가족과 관계 기관에 모든 관련 정보를 제공할 것, 북한으로 강제 추방되거나 송환된 주민들이 인권침해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보장할 것, 그리고 인도적 지원단체들의 북한 입국을 즉시 허용할 것을 촉구한 점에 주목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의 심각한 인권상황에 깊이 우려한다고 말하며 결의에 언급된 사안들이 북한 당국의 적극적인 자세와 국제사회와의 건설적인 대화와 협력을 통해 개선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