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한미정상 통화…북 FFVD 방안 논의”

0:00 / 0:00

앵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전화 통화를 갖고 최근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대한 양국의 입장을 교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대북 식량지원을 지지한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미 양국 대통령은 7일 약 35분 가량 통화를 하면서 북한과 비핵화 협상을 이어가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미국 백악관은 이날 양국 정상 논의 내용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질문에 “양국 대통령은 최근 북한 관련 진전 상황과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 달성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습니다. (President Donald J. Trump spoke today with President Moon Jae-i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two leaders discussed recent developments regard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and how to achieve the final, fully verified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한국 청와대는 이날 통화에 대한 보도자료를 내고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일 북한의 전술유도무기를 포함한 단거리 발사체 발사와 관련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설명했다”며 “양 정상은 이번 발사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대화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면서, 가능한 조기에 비핵화 협상을 재개하기 위한 방안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 측은 또 "양 정상은 북한의 발사 직후 한미 양국 정부가 긴밀한 공조하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한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였다"며 "특히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신한 트윗 메시지가 북한을 계속 긍정적 방향으로 견인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하였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북한의 발사체 발사 이후 인터넷 사회연결망 서비스인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자신과 한 약속을 깨고 싶어하지 않는다”며 “합의는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특히 극심한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식량지원을 지지한다는 뜻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청와대 대변인실은 "양 정상은 최근 유엔식량농업기구가 발표한 북한 식량 실태 보고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시의적절하며 긍정적인 조치가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이를 지지하였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일본을 방문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최근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대해 북한 측의 "초조함의 표출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7일 일본 NHK방송이 전했습니다.

한국 연합뉴스에 따르면, 비건 대표는 이날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측의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기 때문에 거부했다"고 일본 측에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