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북 억류 미국인 석방은 긍정적 제스처”

0:00 / 0:00

앵커 : 미국 백악관은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이 억류 중이던 한국계 미국인 3명을 석방한 것을 긍정적인 제스처, 즉 의사 표시라고 평가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9일 북한에 억류됐던 미국인 3명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함께 미국으로 돌아오는 데 대한 공식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샌더스 대변인은 성명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억류됐던 미국인을 석방한 북한 지도자 김정은에게 고마워하고 있다”며 “이를 선의의 긍정적 제스처, 즉 의사 표시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President Trump appreciates leader Kim Jong Un’s action to release these American citizens, and views this as a positive gesture of goodwill.)

10일 새벽 2시 워싱턴 DC 인근에 도착할 억류자들의 상태에 대해서는 “건강한 것으로 파악되고 도움없이 걸어서 전용기에 오를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The three Americans appear to be in good condition and were all able to walk on the plane without assistance.)

그러면서 “모든 미국인은 그들을 환영하고 그들이 집으로 돌아가 사랑하는 가족들과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All Americans look forward to welcoming them home and to seeing them reunited with their loved ones.)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이날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외교로 3명의 북한 억류 미국인이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고 평가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 억류 미국인의 석방과 상관없이 완전한 비핵화를 이룰때까지는 대북 압박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While our administration is encouraged that North Korea freed these innocent hostages, we will not let off the pressure until we achieve full denuclearization.)

한편 폼페이오 장관은 9일 오전 자신의 트위터에 북한 억류자들과 함께 미국에 돌아온다는 소식을 전하며 “평양에서 김정은과 매우 유익한 회담을 했고 성과를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으로 돌아오는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북한 억류자 석방을 비롯해 북한 측과 13시간에 걸쳐 다양한 논의를 했다”며 미북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하루 일정으로 보고 있지만 필요할 경우 이틀로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아울러 실무회담에 참가한 한 미국 측 인사는 미북 정상회담 준비와 관련한 세부사항을 마무리 짓기 위해 다시 한번 북한 실무진을 만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