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와 미사일 확산 방지 활동을 하는 단체들에 총 미화 835만 달러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국(ISN)의 협력적 위협감축(CTR) 부서는 지난달 31일 북한과 이란의 대량살상무기 및 미사일 확산 방지를 위해 관련 단체에 미화 835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이날 미 국고보조금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회계연도와 달리 올해부터 북한과 이란의 제재 회피 문제를 함께 다루는 기금 지원 공고를 낸다며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지원 대상은 미국과 해외의 비영리·영리 단체, 교육기관, 국제기구 등으로, 총 20~50개 단체가 최소 5만 달러에서 최대 25만 달러를 지원받게 됩니다.
국무부는 이번 공고에서 대표적인 북한의 제재 회피 활동 예시로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 관련 자금 확보를 위한 사이버 활동을 비롯해, 자금 세탁과 조달을 위한 유령회사와 해외 대표부, 암호화폐 거래소 악용 행위 등을 적시했습니다.
또 북한이 유엔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서류 위조 등 선박 등록처를 악용하고, 선박 간 환적 방식을 통해 석탄을 수출하고 정제유를 수입하며, 사치품, 해산물, 군사장비 등 제재 대상 물품의 수출입도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대량살상무기 및 탄도미사일 관련 물품과 기술의 조달을 위해 해외에 일부 의존하고, 수만 명의 북한 해외 노동자들과 외교관 등이 대량살상무기 및 미사일 개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해외에서 외화벌이에 나선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무부는 이러한 제재 회피 활동에 대응하도록 해외 역량을 구축할 수 있는 단체의 활동을 우선시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또 북한이 제재 회피 활동을 벌이고 이를 숨기기 위해 개인과 기업, 선박, 외교 공관 등을 이용하는 방식이 진화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연구 사업 등도 지원 대상 활동이라고 명시했습니다.
관련 단체는 내년 1월 31일까지 지원서를 제출해야 하며,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 내년 10월 1일부터 12개월 동안 활동을 진행하게 됩니다.
국무부는 이번 공고에서 “미국은 한반도의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과의 협상을 계속 추구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이 완전히 비핵화할 때까지 국제적 압박과 제재를 유지해야 한다는 정책을 지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확산 억제를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이행과 제재 회피 활동의 탐지 및 중단, 대량살상무기와 운반 체계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의 방해 등 북한에 대한 압박 캠페인을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국의 협력적 위협감축 부서는 이날 국제사회의 화학무기 공격 및 확산 저지를 위해 584만5천 달러를 지원한다는 별도의 공고를 발표했습니다.
국무부는 해당 공고에서 북한이 최근 몇 년새 해외에서 신경작용제를 사용해 표적 공격을 감행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지난 2017년 김정은 총비서의 이복형인 김정남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신경작용제 ‘VX’ 공격을 받아 살해됐습니다.
국무부는 화학무기 공격 및 확산 저지 관련 국내외 비영리·영리 단체, 교육기관 등 총 20~50개 단체에도 최소 5만 달러에서 최대 25만 달러까지 지원할 예정입니다.
관련 단체는 내년 1월 31일까지 지원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