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최근 북한 당국은 미국에 대해 '여론을 호도해 대화 분위기를 망치지 말라'며 일침을 가했습니다.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외무성 측은 6일 관영 언론을 통해 남북 정상회담에서 드러난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미국 주도의 제재와 압력의 결과가 아니라며 여론을 호도하지 말라고 미국 측에 경고했습니다.
미국이 한국에 전략 자산을 배치하고 인권 문제를 제기하면서 북한을 ‘의도적으로 도발’해서는 안된다는 게 북한 측의 주장입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는 이같은 북한 측 주장에 대한 의견을 묻는 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고대한다”고 답했습니다.
(The President is looking forward to his meeting with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국무부 동아태 담당 대변인실 역시 서면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을 기대하고 있고 모든 정부 차원에서 이번 행사 준비를 위해 포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체 없는 북한의 영구적인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 폐기란 미국의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이 비핵화될 때까지 전 세계의 최대한의 대북 압박 캠페인도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The President looks forward to the Summit, and a comprehensive, whole-of-government effort to prepare for the event is underway. Our objective is unchanged: we are committed to achieving permanent dismantlement of North Kore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rograms without delay. In the meantime, the global maximum pressure campaign will continue until North Korea denuclearizes.)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미북 정상회담의 장소와 시기에 대해서는 여전히 말을 아끼는 모습입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관계자는 미북 정상회담 장소와 시간에 대해 ‘향후 알려주겠다’(we will let you know)고만 답했고 발표가 늦어지는 데 대한 특별한 이유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 측 역시 미북 정상회담 관련 사안은 백악관에 문의하라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등 최근 수차례 미북 정상회담의 장소와 시기가 결정됐으며 이를 ‘조만간 알려주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켜보라’(stay tuned)고 했던 북한 억류 미국인 3명에 대한 현재 상황을 묻는 질문에 백악관은 ‘특별히 발표할 것이 없다’(We have nothing to announce)고 답했습니다.
국무부 측은 이에 대해 “해외에 있는 미국인의 안녕과 안전이 국무부의 최우선 목표”라며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들이 빨리 집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The welfare and safety of U.S. citizens abroad is one of the highest priorities of the Department of State. We are working to see U.S. citizens who are detained in North Korea come home as soon a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