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 통화, 한미관계 견제 목적”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26일 청와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26일 청와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이 신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의 첫 전화 통화를 앞두고 한중 정상 전화통화에 나선 건 한미관계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홍알벗 기자입니다.

한국 문재인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이 지난 26일 전화통화를 했다고 한국 청와대가 27일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전화통화에서 '대화를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에 중국이 건설적인 구실을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에 대해 시 주석은 '남북 및 미북 대화, 그리고 문 대통령의 비핵화 노력을 적극 지지한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시 주석의 이번 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를 놓고 그 배경에 주목했습니다.

미국 국방장관실 선임보좌관을 지낸 바 있는 프랭크 엄 미국평화연구소(USIP) 선임연구원은 2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자우편으로 "중국 베이징은 비핵화를 지지하지만 국경의 안정을 더욱 우선시한다"면서 "따라서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를 압박하려는 미국의 노력에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은 한국과 미국 간의 특별한 동맹관계를 잘 알고 있다"면서 "북한과의 대치상태에서 한국이 경제 관계 유지를 포함한 한중 관계가 한미관계처럼 강화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싶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 켄 고스 국장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그동안 한미 간에 약간의 긴장이 있었는데, 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에 맞춰 중국은 한국에 대한 구애(wooing)의 기회를 엿보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켄 고스 국장: 중국은 한국이 북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워싱턴이 아닌 베이징으로 가서 찾게 되는 것을 확실히 하고 또 보고 싶어 합니다.

미국의 북한 전문가인 마크 배리 국제세계평화학술지 편집장은 27일 전자우편으로, "중국은 매번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같은 입장을 반복하고 있지만 이제 미국의 새로운 바이든 행정부가 시작됐기 때문에 시 주석이 문 대통령에게 먼저 대화를 하자고 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일부 매체들도 중국 측이 먼저 정상 통화를 제안했을 것이라는 추정을 내놨지만 청와대 측은 어느 쪽이 먼저 제안했는지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배리 편집장은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결 정책을 완전히 폐기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번 한중 양국 정상의 전화통화는 새로운 미국 행정부 시작에 대한 예비 태세를 갖추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한중 정상간 전화통화와 관련 한국 청와대는 시 주석 방한과 북한 문제 관련 대화를 비중 있게 발표했지만 중국 관영 언론은 이런 내용들은 공개하지 않은 채 한·중 경제 협력과 다자주의를 강조해 차이를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