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라파엘 그로시 사무총장은 최근 북한 영변 핵시설에서 우라늄 농축과 관련한 움직임이 있었다며, 북한의 핵 활동이 지속적으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14일 북한 영변 원심분리기 시설에서 우라늄 농축 작업을 암시하는 정황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There were indications consistent with the production of enriched uranium at the reported centrifuge enrichment facility at Yongbyon.)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 이사회 개막연설에서 지난 1년 간 북한 내 핵시설 중 여전히 폐쇄(shutdown)된 곳이 있는 반면, 지속적으로 가동 중인 곳들도 있었다면서 이같이 전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이 실험용 경수로에서 내부 공사를 지속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It is also likely that the DPRK has continued internal construction activities at the experimental LWR.)
그러나 그는 5MW(메가와트) 원자로와 방사화학연구소는 활동 징후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더불어 그로시 사무총장은 인공위성 등 공개된 정보를 통해 북한 핵프로그램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핵 활동은 계속해서 심각한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북한의 핵 프로그램 지속은 명백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며, 이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deeply regrettable) 말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어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의무를 충실히 준수하고, 핵확산금지조약(NPT) 안전조치 협정을 완전하고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와 즉시 협력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국제원자력기구 사찰단이 2009년 북한에서 철수한 이후 생겨난 문제들을 포함해 해결되지 못한 모든 사안들을 해결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또 국제원자력기구가 북한의 핵 프로그램 검증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준비를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국제원자력기구는 지난 1일 연례 총회를 앞두고 발표한 보고서에서 영변 핵연료봉 제조공장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모습과 냉각장치 가동 징후가 포착됐다며, 이는 북한이 원심분리기를 통해 농축 우라늄을 생산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보고서는 또 실험용 경수로 시설에서 내부 공사가 진행 중일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차장을 지낸 미국 워싱턴 스팀슨센터의 올리 하이노넨 박사는 1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실험용 경수로 시설 공사가 계속 진행 중일 가능성은 있지만, 중요한 것은 북한이 이 경수로 가동에 필요한 연료를 만들 능력이 있는지의 문제라고 전했습니다.
그는 북한 내 이러한 연료생산 시설이 어디에 위치해있는지, 현재 어떤 상황인지는 알려져있는 바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또 우라늄 농축 시설 역시 가동 중인 것으로 보이지만, 국제원자력기구가 강선에 있는 핵 관련 의혹 시설이 실제로 우라늄 농축 시설인지 결론 짓지는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강선 핵 관련 의혹 시설이 실제 우라늄 농축 시설이 아니더라도, 북한은 지속적으로 우라늄 농축과 핵 능력을 강화하려는 활동을 지속하고 있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하이노넨 박사는 더불어 그로시 사무총장의 이번 발언이 북한의 홍수 피해와 관련한 것은 아니라며, 홍수 피해로 영변과 황해북도 평산의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방사능이나 유해 화학물질 유출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