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입춘을 앞두고 동장군이 마지막 추위를 하는지 요새 너무 날씨가 추워서 여러분 많이 힘들었지요? 남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런 혹한 속에서 올해 1월 5일부터 8일 사이에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국제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3은 작년에 거둔 ICT가전분야의 희한하고 혁신적인 세계적 성과들이 한자리에 전시되어 지구촌을 뜨겁게 달구었습니다. 오늘 시간에는 그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이게 어떤 행사인가에 대하여 먼저 말씀드리면 CES는 미국소비자 기술협회(CTA: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ICT 융합 전시회입니다. 1967년 미국의 뉴욕시에서 시작되었으며, 1978년에 와서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여름 CES와 시카고에서 열리는 겨울 CES가 격년제로 운영되었습니다. 1995년부터는 네바다주의 라스베이거스로 개최지를 옮겨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행사에는 전 세계에서 174국, 3,100개 기업이 축구장 26개를 합친 면적(18만6000㎡)의 공간에 혁신제품과 신기술을 선보였고요. 10만명의 참가자들이 박람회장을 찾아 가히 지구촌 최대 전자제품박람회의 위상을 드높혔습니다.
한국에서는 삼성, SK, LG, 현대, 롯데 등 주요 그룹 관계사가 대규모 전시공간을 차렸고, 구글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의 세계적 기업들이 대거 참석하면서 지난해보다 50% 이상 규모가 커졌습니다.
CES박람회에서 아주 중요한 행사가 가전, 정보기술 분야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세계 석학들의 기조연설인데요. 올해의 주요 주제는 메타버스, 웹3.0, 모빌리티, 디지털헬스, 지속가능성, 휴먼시큐리티 등이 었습니다. 이런 용어들은 앞서 3번에 걸쳐 진행된 본 방송에서 자세히 설명했지요.
올해 CES는 수천 가지 첨단정보기술 신제품들이 전시되었는데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자율주행과 전동화 분야 혁신을 다룬 모빌리티 영역의 출품이 많았고 또 관심도도 가장 높았습니다. 그리고 지난해처럼 차량 관련 서비스와 상품이 많았습니다. 독일의 BMW는 개막 전야에 기조연설을 통해 '노이에 클라세'(Neue Klasse·뉴 클래스)로 불리는 차세대 전기차 '디'(Dee)를 공개했습니다. 이 차는 차량색이 순식간에 바뀌는 등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는 신기술들을 선보였습니다.
남한의 현대모비스는 '통합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변모하겠다는 목표를 담아 전동화 자율주행 개념 차량인 '엠비전 TO'를 공개했습니다. 4개 바퀴가 각각 조향장치와 제동장치를 달고 따로 움직이는 이 콘셉트 카는 꽃게처럼 옆으로 이동하거나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 사람들을 경탄을 자아냈습니다.
미국의 구글회사는 여러분들이 사용하는 휴대폰의 운영체계인 안드로이드를 개발하여 누구든 공짜로 쓰게 하는 등 소프트웨어 분야의 세계적 절대강자인데요. 이 회사는 이번에 자동차 전용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오토'의 새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휴대전화로 친구와 가족을 지정해 디지털 차키를 공유하는 '키 셰어링' 기능,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연결된 휴대전화의 구글맵과 음악앱, 메시징 앱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기능 등이 공개됐습니다.
특히 전시에서 눈길을 끌었던 것은 대한민국의 기업들이 차린 전시공간이었습니다. 현대 회사가 바다에 대한 관점과 활용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하자는 비전과 함께 대형 상선 및 에너지 분야 미래 구상도 제시했습니다. 삼성전자는 메인 전시관인 LVCC에 참가업체 중 가장 넓은 3368㎡ 규모 전시관을 마련했고, LG전자는 2044㎡ 규모로 전시공간을 운영했습니다.
메타버스 영역도 다양한 출품작이 선보였는데여. 후각과 촉각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들이 주목받았습니다. 인간의 오감 중 후각을 가상현실(VR)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미국 기업 'OVR 테크놀로지스', 한국의 촉각 솔루션 개발사 '비햅틱스' 등이 관심을 끌었습니다.
농기계 업계의 세계 1위기업인 미국의 존 디어는 이번 행사에서 자율주행하며 빠른 속도로 대량의 씨앗을 심으면서 센서로 씨앗에 비료를 정확히 시비하는 신제품 '이그잭트샷'을 전시해 작업 효율을 높여 농업 무인화의 새로운 경지를 보였습니다.
세계의 과학기술은 이렇듯 초고도로 발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지구촌 사람들의 삶은 날을 따라 윤택하고, 문명적이며, 풍요롭게 변모되어가고 있든데 우리 북한형제들은 매일 강낭밥 한 끼 해결하는 것이 큰 전투라고 하니 너무 너무 안타깝습니다.
진행 김흥광, 에디터 이진서,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