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10년 차이] 평양 어떻게 가요? 뉴진스의 하입보이요

0:00 / 0:00

“안녕하세요, 함경북도 무산 출신으로 올해 정착 10년 차인 박소연입니다” “양강도 혜산 출신으로 이제 막 한국에 정착한 이해연입니다” 10년 차이로 남한에 입국한 탈북민 선후배가 전해드리는 남한 정착 이야기, <우리는 10년 차이>

박소연 : 전 시간에 OTT(인터넷을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의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소개하면서 음악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나눴었는데 오늘은 동해보다 넓은 남한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해요.

이해연 : 저는 사실 음악 때문에 남한에 왔어요. (웃음) 남한 음악이 너무 듣고 싶은데 북한에서는 마음 놓고 들을 수가 없잖아요. 아빠가 어느 날 MP3(재생기)를 사줬거든요, 그걸 매일 이불 속에서 몰래 들었습니다.

박소연 : 해연 씨가 지금 이 자리에 앉아있을 수 있었던 큰 이유가 음악 때문이다? (웃음)

이해연 : 일단 동기는 그렇습니다. (웃음) 남한 노래는 북한과 다르게 다양했어요. 트로트, 발라드도 있고, 발라드 중에서도 또 나뉘거든요. 록 발라드도 있고 힙합 등 너무 많은 종류가 있어서 처음에는 분류를 잘 못 하겠더라고요.

박소연 : 해연 씨, 지금 막 영어를 막 얘기하니까 굉장히 뭔가 있어 보이는데… 북한에서부터 알았던 건 아니죠?

이해연 : 당연히 여기 와서 배웠죠. (웃음)

박소연 : 북한에는 만수대 예술단이나 피바다 가극단처럼 국가에서 운영하는 큰 예술 단체들이 있어요. 거기서 나오는 음악이라고 해봐야 대부분 가극에서 부르는 성악곡이 전부입니다. 저는 북한에 있을 때는 인민배우 최삼숙 가수의 노래와 공훈배우 장은애 가수의 노래를 좋아했어요.

이해연 : 장은애요?

박소연 : 장은애 몰라요? 그분이 이경훈이란 남자 가수와 혼성 이중창을 불렀어요. 북한에서는 최삼숙 다음가는 가수로, 북한 예술 영화 주제가는 거의 장은애 가수가 불렀는데 그분을 모른다… 놀랍네요.

이해연: 정말 몰랐어요. 그래도 최삼숙은 알아요. 저희 때는 굳이 노래의 작사, 작곡을 누가 했는지, 가수는 누구인지 굳이 알려고 하지 않았어요. 그런 걸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단순히 노래가 좋으면 그냥 좋다 그랬죠… 그러다 어느 순간, 남한 노래가 담긴 MP3를 듣다 보니 솔직히 그때부터는 북한 노래가 너무 어색했어요.

박소연 : 북한에서는 좀 그런 면이 있죠. 남한 노래를 들으면서도 노래만 좋아했지 가수 이름은 기억 못 했을 거잖아요?

이해연 : 아뇨, 저희는 북한 가수는 기억을 못 해도 남한 가수는 다 기억했어요.(웃음) 윤도현 밴드, 박상철, 박상민, 백지영... 그 외에도 엄청 많아요. 북한에서 즐겨 들었던 남한 노래와 가수들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오늘 중으로는 방송이 끝나지 못할걸요.

박소연 : 방금 전 북한 가수의 이름을 물어봤더니 당황한 얼굴이었는데 남한 가수의 이름은 이렇게 또렷하게 기억하다니! (웃음) 그런데 해연 씨만 그런 거 아닌가요?

이해연 : 아뇨, 다른 친구들도 대부분 그랬습니다. 저는 남한 정착 초기엔 드라마를 보면서 주변 사람들이 이 드라마 대본은 누가 썼고 누가 만들었고, 노래도 작사, 작곡은 누가 했고 이런 걸 기억하는 걸 보고, 왜 복잡하게 이런 걸 따지는지 모르겠더라고요.

박소연 : 그건 저도 10년 전에 그랬어요. 북한에서 그런 게 중요하지 않잖아요? 그냥 가수 최삼숙이 어떤 노래를 불렀다면 작가, 작곡가가 중요하진 않잖아요? 사실 북한 노래 가사는 당을 선전하는 내용밖에 없으니까 작사가가 중요하지 않죠… 하지만 남한은 TV에서 어떤 가수가 나와서 노래를 부르면 화면 아래에 자막으로 작사, 작곡가의 이름은 물론이고 원곡 가수의 이름도 알려줍니다. 그걸 보면서 이름 석 자의 의미가 북한과는 다르다는 것을 느꼈어요.

이해연 : 또 하나, 음악이나 가수를 검색해서 듣는 것 북한에서 불가능하니 그걸 기억할 필요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남한은 유튜브나 어디서든 검색해 볼 수 있으니 가수 이름, 노래 제목이 중요하고요.

박소연 : 그런데 해연 씨는 북한에 있을 때 백지영, 윤도현 밴드의 노래들을 많이 들으셨다고 했잖아요? 10년 전에는 북한 주민들은 대부분 남한 트로트 음악을 많이 들었는데 그건 좀 차이가 있네요. 그리고 북한에서는 ‘트로트’라는 음악 장르가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든 그냥 ‘남조선 노래’라고 불렀죠. 노래가 빠르면 그냥 빠른 음악이라고 불렀고, 느리면 서정적인 노래라고 했어요. 또 북한에서 남한 음악을 듣다가 가끔 이상한 노래가 나왔는데, 말로 하는 음악이었어요.

이해연 : 아, 힙합?

박소연 : 네, 랩 부분이 정말 이상했습니다. 그리고 그 랩 부분을 싫어했어요. 리듬과 가락에 맞춰 노래를 불러야 진정한 음악이라고 생각했어요. 지금은 생각이 많이 바뀌었지만요. 해연 씨는 어때요? 북한에서 즐겨 듣던 음악의 종류와 현재 남한에 와서 좋아하게 된 음악의 종류가 같아요?

이해연 : 당연히 다르죠. 북한에서는 트로트를 더 좋아했어요. 특히 장윤정의 ‘어머나’를 좋아했고요. '어머나 어머나 이러지 마세요'… 그 부분이요. (웃음) 그렇지만 남한에 와서 자주 듣다 보니 다른 노래도 나쁘지 않더라고요.

박소연 : 조금 전에 해연 씨가 북한에서 백지영 가수의 즐겨 들었다고 했는데, 북한 주민들이 들으면 엄청 놀랄만한 가사가 있지 않아요?

이해연 : '총 맞은 것처럼'... 지금도 부르고 싶지만 제가 노래를 잘하지 못합니다. (웃음) '총 맞은 것처럼'이란 가사 중에서 ‘총’이란 말은 북한에서는 민감한 단어지만 노래는 사랑과 이별에 대한 내용이에요. 사람들의 일상적인 감정을 노래에 담은 거짓이 없는 노래라서 너무 좋았어요.

박소연 : 노래 가사를 쉽게 풀어서 설명 드리면, 이별이 너무 아파서 서로의 마음이 총 맞은 것처럼 아팠다는 거잖아요. 얘기하다 보니 느낌이 정말 다르네요. 근데 저희 때는 겨우 '봉선화 연정’, ‘노란 셔츠 입은 사나이'나 들었죠. 백지영 씨 노래는 상상도 못 했네요.

이해연 : 저는 지금 말씀하신 노래를 하나도 모르겠는데요?

박소연 : 우리 때는 '그때 그 사람’, ‘홍도야 울지 마라' 같은 노래가 유행이었죠. 그때 마침 조선예술영화 '민족과 운명'이 인기를 끌었는데, 영화 속에서 박정희 대통령 역을 연기하는 배우가 '그때 그 사람'을 불렀고 그 영화가 나온 이후 많은 사람들이 영화 속 남조선 노래를 따라 불렀는데요. 이 노래가 유행하니까 당국에서 그 노래 부르지 말라는 지시문을 내렸어요. 영화를 만들어서 주민들에게 보여주더니 정말 주민들이 남한 음악을 좋아하니까 못 부르게 난리를 치더라고요. 아 그리고 해연 씨, 북한에서 몰래 듣던 남한 노래를 진짜 남한에 와서 들으니 느낌이 어때요?

이해연 : 좀 달라졌습니다. 이거 옛날에 몰래몰래 들었던 노래라고 어디 가서 말하기는 민망하다고 해야 하나요?

박소연 : 정말 공감해요. 북한에서는 좋아하는 노래만 적어 놓은 노래집이 있었어요. 북한 사람들은 이걸 다 만들어요? (웃음) 수첩에다 1절부터 3절, 심지어 후렴까지 정성을 다해 적어서 마치 비밀문서처럼 갖고 다녔어요. 좋아하는 노래를 계속 반복해서 듣고 불렀어요. 북한에 있을 때, 혼자 부엌에서 남한 노래를 흥얼흥얼 부르면 시어머님이 ‘야야 사람들이 있는 데서 그런 노래 부르지 말라'고 혼내셨어요. 몰래 부엌에서 혼자 밥 하면서 조용히 불렀는데 남한에 와서는 그 노래가 어느 순간 질리는 거예요. 남한에서는 새로운 노래들이 방직 공장에서 천이 생산되어 나오는 것처럼 계속 나와요. 지금은 새로 나온 노래 듣기도 바쁘죠. 그런데 북한도 요즘엔 최신 남한 음악들을 좋아하는 청년들이 많다고 하죠? 최근 남한에 정착한 탈북민을 만났는데 그 사람이 그러더라고요. 북한에서 '방탄소년단'을 모르는 청년들이 없다고….

이해연 : 젊은 층들은 거의 다 알고 있어요. 저도 북한에서 ‘방탄소년단’ 음악을 뮤직비디오로 봤었어요. 지금 남한에는 ‘방탄소년단’처럼 잘나가는 아이돌 그룹도 많아요. 뉴진스, 아이브, 블랙핑크… 모르긴 몰라도 다들 듣고 있을 겁니다. 남한에서는 요즘 지나가는 사람에게 ‘홍대 어떻게 가요?’라고 물어보면 뉴진스의 ‘하입보이’ 춤을 추면서 알려주는 영상이 유행입니다.

박소연 : 홍대는 지하철 2호선을 타야 한다고 알려줘야 맞지 않아요?

이해연 : 한 영상에서 어떤 분이 이어폰을 끼고 노래를 들으며 걷고 있는데 지나가던 사람이 '홍대 어떻게 가요'라고 물었는데 마침 그 노래를 듣고 있었나 봐요. 대답이 뉴진스의 하입보이요… 했는데 그게 유행이 된 것이라고 알고 있어요.

박소연 : 저도 인터넷 게시판 인기 영상에서 봤어요. 뉴진스 뿐 아니라 ‘블랙 핑크’ 여성 걸 그룹에 지수라는 가수가 부르는 ‘꽃’ 음악과 춤이 요즘 대세입니다. 노래에 '꽃향기만 남기고 갔단다' 라는 가사가 있는데 쉰 살인 저도 20대 아이돌 음악을 콧노래로 흥얼거리며 따 라하고 있다니까요. 우리가 이렇게 말하는 순간에도 북한 청년들은 이불 밑에서 이 노래를 따라 부를지도 몰라요. 밖에서는 못 부르니까.

이해연 : 남한에서 유행인 노래들이 잽싸게 북한에 들어가서 많은 사람이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박소연 : 남한에는 아이돌 그룹이 많아요. 젊은 남성들로 꾸려진 그룹도 있지만 여성 그룹이 인기가 많아요. 예전에 아버지가 '조선은 여자들이 더 똑똑하다'라는 얘기를 많이 하셨는데 남한 여성들도 노래 잘하고 영리합니다.

이해연 : 여자 아이돌 가수들의 가사를 보면 '여자들도 이제는 남자들한테 짓눌려 살지 않는다'는 파격적인 가사들이 많은 것 같아요. 저는 그 내용이 좋아요. 북한은 여자가 할 일이 따로 있고 남자가 할 일이 따로 구분되어 있어요. 여자라서 어떻게 해야한다… 이런 부분들이 많아요. 남한은 남녀를 가리지 않고 똑같은 인간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얘기가 노래 가사 속에 담겨있어 좋습니다.

박소연 : 블랙핑크의 제니라는 가수가 부른 노래 '나는 솔로'라는 노래 가사는 혼자이지만 당당하게 세상을 살아간다… 이런 뜻이 담겼어요. ‘혼자’라는 단어를 북한 기준으로 생각하면 외로운 존재로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제니가 전하는 ‘나는 솔로’를 들으면 같은 여성으로서 혼자서도 당당하게 세상을 살아갈 수 있다는 응원처럼 느껴져요. 그래서 많은 여성들이 제니를 좋아하는 것 같아요. 북한 가수는 당을 칭송하는 노래만 불러야 합니다만… 이렇게 남한은 다양한 의미를 담을 수 있어요.

북한에서 남조선 노래는 이불 속이나 남들 안 보는 곳에서 불렀습니다. 적대국의 음악을 드러내놓고 부르면 사회주의 조국을 배신한 반동분자로 몰리니까요. 그렇지만 사랑 노래 좀 들었다고 반동분자로 몰리는 게 맞을까요? 반대로 남한에서 북한 노래를 들으면 어떻게 될까요? 혹시 북한처럼 처벌받는지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이 얘기는 다음 시간에 이어갈게요.

지금까지 탈북 선후배가 나누는 남한 정착 이야기 <우리는 10년 차이> 진행에 박소연, 이해연, 제작에 서울 지국이었습니다.

박소연, 에디터:이현주,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