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10년 차이] 남한 꼰대가 북한 꼰대에게

0:00 / 0:00

“안녕하세요, 함경북도 무산 출신으로 올해 정착 10년 차인 박소연입니다”

“양강도 혜산 출신으로 이제 막 한국에 정착한 이해연입니다”

10년 차이로 남한에 입국한 탈북민 선후배가 전해드리는 남한 정착 이야기.

<우리는 10년 차이>

박소연 : 후배가 정착에 대한 걸 물어봐서 얘기를 시작하면 제가 말을 끊을 줄 몰라요. 해줄 얘기가 너무 많죠. 그렇게 한참을 얘기하고 나면 미안한 거예요. 이렇게 아직도 꼰대 과정을 제가 계속 이어가고 있더라고요. 하지만 알고 보면 저만 그러는 게 아니고요, 이건 제 나이또래 남한 사람들도 똑같습니다. (웃음)

이해연 : 그런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처음 남한 사회에 나왔을 때 고민이 많잖아요? 취업에서 조그마한 해답이라도 찾고 싶어서 20대와 4~50대 남한 분들이랑 대화를 해봤어요. 나이 드신 분들은 '야 이거 해봐라 나도 해본 건데, 이런 것 때문에 성공한 사람들이 많다'라고 딱 찍어서 얘기해요. 그에 반해 20대 사람들은 저에게 '너는 뭐 하고 싶냐'고 되물어요.

박소연 : 맞네. 우리는 상대방의 의견을 안 물어봐요. 그냥 내 경험에 기초해서 야, 내 이거 해봤는데 너 무조건 이거 해봐라. 100% 성공한다… 이런 식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죠.

이해연 : 맞아요. 그게 차이가 있더라고요. 20대 분들은 '그럼 너는 어떤 걸 좋아하는데? 어떤 걸 하고 싶은데?'… 제 생각을 물어봐요. 그리고 제가 어떤 걸 하고 싶다고 얘기하면, 무조건 그걸 하라고 하는 게 아니라 한번 경험해보고 그게 아니다 싶으면 다른 걸 또 해보라고 충고해줬어요. 제가 조언을 얻었던 분이 두 분 다 한국 분이었는데요, 조언의 방법도 차이가 나죠? 그때는 그게 세대 차이라는 생각을 미처 못 했다가 최근에 와서야 알게 됐습니다.

박소연 : 해연 씨 얘기를 들으면서 갑자기 머리에 탁 스치는 기억이 있네요. 10년 전, 제가 남한에 와서 직업을 구하려고 거주지에 있는 고용복지센터를 찾아간 적이 있어요. 직업상담사가 젊은 사람이었는데 저한테 그러는 거예요. '어떤 일을 하고 싶으세요?'. 그 질문을 받는데 저는 부화가 확 치밀었어요. 내가 40살 다 돼서 남한에 왔는데,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어떻게 알아요? 직업상담사가 이런 저런 일을 해보라고 알려 줘야지… 참 답답한 사람이라는 생각을 했어요. 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생각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줬지만 제가 그 질문을 받아 들이질 못 한 것이죠.

이해연 : 여기서 남북 간의 차이도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북한 사람들은 자기의 인생을 다른 사람에게 비춰보고 답을 찾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는 게 아니라 누구한테 물어서 답을 찾죠. 그리고 자신이 살아온 경험들을 통해서 조언을 하고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찾기보다는 그런 조언을 우선적으로 받아들입니다. 자기 인생의 주인이 자신이라는 구호가 있지만 북한 사회는 그렇게 살 수 있는 환경은 아니었어요. 남한에 와서야 나의 인생을 남에게 물어봐도 정답이 나오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된 거죠.

박소연 : 세대차이를 떠나서 해연 씨도 남한에 오니까 그런 생각을 하게 된 거잖아요. 남한은 이 직업에서 일하다 이게 나하고 안 맞는다고 그만둬도 생계 유지는 되죠. 북한에서 내가 좋아하는 걸 일단 경험을 해보고 안 되면 다른 걸 하겠다?? 그러다간 굶어 죽어요. 그러니까 이미 성공한 사람의 조언을 99%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거예요. 사실 해연 씨는 세대 차이에 대해 꽤 예민하고 남한의 같은 세대들과 차이 나지 않으려고 노력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꼰대가 될 수 있겠다 싶어 그러는 건가요? (웃음)

이해연 : 꼰대가 되는 것이 무서운 것보다 이 사회에 적응하는데 뒤떨어질까 봐 두려운 게 크죠.

박소연 : 저는 사실 해연 씨의 그런 모습이 부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안쓰럽기도 해요. 사람들마다 각자 갖고 있는 그릇 모양이 다 다르잖아요? 사회가 그 다름을 인정해주는 게 남한이고요. 그러니까 너무 아득바득하며 살지 말고 북한말로 순리대로 편하게 살아가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이해연 : 선배님의 꼰대 기질이 또 나오는 건가요?( 웃음)

박소연 : 그런가요? (웃음) 요즘 제가 화가 나고 의견이 있는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이런 거죠. 요즘 젊은이들은 뭐라고 말 좀 하면 다 꼰대라고… (웃음) 그것도 생글 생글 웃으면서 정곡을 콕콕 찌른다니까요! 내 앞에 앉아있는 누구처럼요! 저는 MZ세대와 꼰대세대가 적절하게 섞이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물론 새로운 것도 좋지만 그래도 기존의 것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면 더 좋은 사회가 되지 않을까요. 아직은 좀 신세대 꼰대로서 이렇게 얘기해 주고 싶네요.

이해연 : 맞아요. 어차피 같이 사는 세상에 꼰대도 있고 MZ세대도 있다는 거를 인정하면서 살면 되지 않을까…

박소연 : 맞아요. 다양한 사람들이 같은 사회 안에서 어울리면서 계속 공존해서 삶을 살아가는 게 우리가 사는 세상이구나 받아들이면 될 것 같고요. MZ세대라는 신세대만 존재한다면 세상이 얼마나 재미없을까요? 저처럼 옛날 방식을 갖고 사는 나이 먹은 사람들이 있음으로 해서 흉볼 것도 있잖아요. 세상이 칭찬할 것만 있으면 재미없습니다! (웃음)

이해연 : 그래요. 이런 사람도 있고 저런 사람도 있다고 인정하고 사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박소연 : 맞아요. 그래야 저희 꼰대들도 MZ세대를 남한식 표현대로 '씹을 일'이 있잖아요. '그래 너 잘났다. 그렇게 놀지 마라. 우리가 고생해 그 세월을 살아낸 덕분에 너희들이 지금 이 시대에 사는 거다' 이렇게요. (웃음) 서로 주고받으면서 살아가는 게 세상이고, 그러는 가운데 새로운 생각, 옛날 생각들을 서로 인정하고 섞이는 게 남한 사회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데… 해연 씨, 우리 솔직히 말합시다. 지금 방송을 끝내야 되겠는데 끝낼 수가 없는 게 우리 북한에서는 어떤 것을 인정하면 뭐가 되죠?

이해연 : 바보가 돼죠.

박소연 : 그렇죠. 머절싸(바보)하다고 말하잖아요. 그러니 왜, 누가 인정을 하겠어요. 자기주장을 끝까지 밀고 나가야죠.

이해연 : 맞든 틀리든 간에 내가 한번 내뱉은 말은 무조건 밀고 나가야 된다고 생각하죠. 너무 어이없는 일인데 정말 심한 꼰대 세상이죠.

박소연 : 맞아요. 이 방송을 듣고 계시는 청취자 여러분들도 저희들을 얘기를 통해 생각 한번 해보셨으면 좋겠네요.

이해연 : 저는 북한 사람들이 개인마다 서로 다르다는 걸 제발 좀 인정하고 서로 의견을 존중했으면 좋겠습니다. 서로를 인정하지 않으면 가정에서도 사회에서도 너무 싸우고 갈등이 심합니다. 남을 그대로 인정하면 관계가 얼마나 쉬워지는데요. 남한에 와서 사람들을 대할 때 그 부분을 절실하게 느꼈습니다. 북한 분들도 이것만 인정하면 정말 싸움도 덜해질 것 같습니다.

박소연 : 해연 씨 말대로 북한 사람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답을 정해놓고 말해요. 상대방의 말을 들어줄 생각보다는 내 말이 정답이니까 내 말대로 해라는 관념을 머리에 새겨 넣고 시작을 하니까 소통이 잘 안 되죠. 그게 왜 그런지 알아요? 노동당의 정책에 주민들은 무조건 따르라, 내려 먹이는 체제 아래서 살았기 때문입니다. 당이 지시를 내리면 우리는 따라야 되잖아요. 사람들의 생각도 나라가 시행하는 정치나 사회적 분위기하고 연관이 크잖아요? 그러니 사람들도 남을 인정하기 보다는 자기 생각을 상대방에게 내려 먹이는 것이죠.

이해연 : 북한 사람들은 자기주장대로 따라와야만 직성이 풀리잖아요. 그래서 서로가 다르다는 것을 받아들이시면 좋을 것 같다 얘기하는 것이고요.

박소연 :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는 게 솔직히 북한 사회에선 힘들어요. 우리가 귀로 듣는 거하고 실생활에서 맞닥뜨린다는 게 얼마나 큰 차이인지 몰라요. 저도 남한 정착 초기에 아들한테 엄마의 말은 법이자 명령이라며 일방적으로 밀어부쳤어요. 그러니까 서로 너무 부딪쳤어요. 그런데 지금은 안 됩니다. 아들이 '엄마 내 생각은 이런데 왜 일방적으로 강요해요?' 이러거든요. 아들하고 대화를 하면서 내가 이렇게 수준 없는 사람이었는가 하고 깨닫게 되는 순간이 있었어요. 물론 '네가 내 자식이고 아직은 내 아래다'라는 생각이 조금은 있어요. 완전 없진 않지만 한 명의 어엿한 인간으로 대하려고 애씁니다. 하지만 청취자 여러분들이 이 얘기를 듣고 이해할까 이런 의구심은 있어요,

이해연 : 이건 정말 몸으로 체험을 해야 알게 되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박소연 : 그래도 한 가지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를 존중해 주면 서로 갈등을 일으키거나 오해나 억측을 부릴 수 있는 부분을 줄여줄 수가 있다는 점. 그런 부분에서 해연 씨와 저는 오해하거나 부딪힐 일이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꼰대는 강하니까요? (웃음)

이해연 : 마지막까지 꼰대 기질을 발휘하시네요. (웃음)

박소연 : 그랬나요? (웃음) 저희 이만 인사드릴게요. 지금까지 탈북 선후배가 전해드리는 남한 정착 이야기 <우리는 10년 차이> 박소연, 이해연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박소연, 에디터 : 이현주, 웹팀 : 이경하

에디터 오중석,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