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10년 차이로 남한에 입국한 선후배가 전해드리는 남한 정착 이야기, <우리는 10년 차이>! 저는 함경북도 무산 출신으로 올해 정착 10년 차 박소연이고요, 양강도 혜산 출신으로 이제 막 한국에 정착한 이해연 씨와 함께합니다.
INS : <우리는 10년 차이>, 내 이름을 불러줘
박소연 : 해연 씨가 남한에 와서 개명하게 된 이유가 이름이 촌스럽다고 생각해서 그런 거잖아요. 북한에선 그런 생각하지 않았죠?
이해연 : 한 번도 안 했죠. 북한에서 촌스럽다고 생각하지 않은 이유가 거기서는 내 이름을 많이 불러줄 사람도 별로 없던 것 같고... 그리고 친구들 사이에서도 괜찮은 이름이었으니까요. 그런데 여기 남한에 오니까 내 이름을 쓸 일이 너무 많은 거예요. 일단은 병원에 가도 간호사분들이 많이 불러주고 학원에서는 학원 선생님이 출석 부를 때 제 이름을 부르는데 그때마다 너무 싫은 거예요. 저와 같이 '춘' 자가 들어간 이름은 찾아볼 수 없죠. 또 일상에서 주민등록증을 많이 사용하는데 그때도 제 이름을 부르면서 확인하잖아요. 그럴 때마다 나이가 젊은데 이름이 나이에 어울리지 않으니까 재차 제 얼굴을 다시 보는 거예요.
박소연 : 나이에 비해 이름이 어울리지 않으니까? 남한은 이름에 '춘'자 들어간 분들이 연세가 많죠…
이해연 : 네, 이름과 나이가 어울리지 않으니까. 그럴 때마다 저를 다시 확인하느라 보는 게 너무 싫은 겁니다.
이름의 중요성, 북한에서보다 남한에서 크게 느껴
간판에도 자기 이름을 다는 사회와 그것이 금지된 사회의 차이
‘내 이름 석자를 걸고’라는 표현이 충격이었다
박소연 : 맞아요. 북한에서는 사실 이름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아요. 이름을 쓸 데도 별로 없어요. 그냥 태어났으니까 이름을 짓는 거죠. 제가 남한에 와서 일 년쯤 됐을 때, 어느 날 차를 타고 가는데 도로 옆 타이어를 파는 작은 가게 간판에 '우리 타이어는 질을 보장합니다. 제 이름 석 자를 걸고'. 이렇게 쓰여 있는 거예요. 그걸 보고 충격을 받았어요. '아니, 자기 이름 석 자를 거는 것과 물건을 파는 게 무슨 상관일까?'... 당시에는 이름 석 자의 중요성을 몰랐어요. 남한에서는 사람들이 병원을 개원하든 미용실을 오픈하든 '이해연 미용실' 이런 식으로 자기 이름을 간판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내 이름 석 자가 어떤 상표도 될 수 있는 것이고요.
이해연 : 북한에서는 사실 내가 소중하다는 생각을 정말 못 해 봤어요. 그냥 살아가니까 사는가 보다, 그렇게 무심코 흘려보냈는데 여기 남한에 오니까 나 개인이 소중합니다. 내 삶이 소중하고 개인의 성장을 위해서 노력하다 보니, 나의 이름도 소중하고 가치도 다릅니다. 그래서 탈북민들이 남한에 와서 이름들을 많이 개명하는 것 같습니다.
명함을 받을 때는 두 손으로,
내 이름으로 된 명함을 기대하며
나는 이제 내 이름을 사랑하게 됐다
박소연 : 해연 씨도 이제 직장이 들어가 사회적으로 자리가 잡히면 자기 이름 카드 '명함'이란 걸 만들게 돼요. 거기에 내 이름 석 자를 한가운데 쓰죠. 그리고 그 이름과 함께 영어로 된 이름, 회사 이름, 직책, 전자우편 주소 등을 인쇄해서 모르는 사람과 인사하면서 자기 소개할 때마다 이걸 서로 주고받죠. 그것도 두 손으로 깍듯하게 인사하면서 말이죠. 명함을 받는 사람마다 한 손으로 받는 사람이 없어요. 제가 명함을 주면 받는 사람은 꼭 두 손으로 받아요. 북한에서 우리는 장군님의 선물만 두 손으로 받는 줄 알았잖아요. 그런데 내 이름 석 자를 누군가가 두 손으로 받는 사회가 바로 남한 사회에요.
이해연 : 그게 또 매너인 거죠? 두 손으로 받는 거…
박소연 : 네, 저는 남한에 와서 제 이름을 많이 사랑하게 된 것 같아요.
이해연 : 그리고 이름을 봤을 때 남북한이 다른 점이 북한에서는 이름을 한글로 세 글자를 지으면 그것으로 다 되잖아요. 반면 남한은 이름을 한글로 짓고 나면 한자랑 영어 이름이 또 있는 거예요. 북한에서는 한자로 된 이름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 사람들이 쓸 줄도 몰라요. 실제 한자로 쓸 일이 없으니까요. 그런데 남한은 한자 쓸 일도 너무 많고요, 여권에 쓰여 있는 것처럼 이름의 영문 표기도 알아야 하죠. 탈북민들도 이곳에 와서 비록 이름을 한글로 개명했지만 결국, 세 가지를 다 알아야 하는 거죠.
박소연 : 처음에는 그런 이름을 쓸 때 좀 낯설더라고요. 한번은 이력서를 쓰는데 한글 이름 쓰는 곳 옆에 한자로 쓰는 곳이 또 있더라고요. 그동안 내 이름은 한글로만 써왔는데 옆에다 한자를 쓰라니 어떡해요. 그냥 그림 그리기처럼 어렵게 썼죠. 그런데 지금은 여권도 있는데 거기 보니까 제 이름이 한글, 영문 두 가지가 표시되어 있잖아요. 처음에는 번거롭고 낯설었는데 지금은 좋아요. 그러니까 '나'라는 사람이 커진 거잖아요. 하나에서 셋이 된 거잖아요.
가게 간판에 자기 이름을 쓰며 감격하는 탈북민들
이름 석 자의 무게는 왜 남북이 다를까
이름으로 시작해 사회와 삶은 생각해보는 시간
새로운 이름으로 더 당당하게 살아가고 싶다
박소연 : 남한에 온 탈북민 중에서 회사생활을 열심히 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개인 사업을 해서 성공하신 분들도 계세요. 이분들이 개업하면 간판을 달아야 하잖아요. 북한처럼 '송봉 국수집' 이렇게 지역 이름을 써서 다는 게 아니라, 당당히 '박소연 국수집'처럼 자기 이름으로 간판을 다는 분들도 많아요. 그 간판 올리며 감격한 나머지 펑펑 우셨다고…
이해연 : 자기 이름으로 된 간판을 건다는 게 북한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잖아요.
박소연 : 그렇게 하면 법에도 걸리죠. 사회주의 체제인 북한은 모든 걸 다 국가가 운영하기 때문에 지역 이름이나 겨우 달 뿐이죠. 그랬던 그분들이 남한에 와서 자기 이름이 쓰인 간판을 달고서 왜 울었는지 충분히 이해가 되죠?
이해연 : 남한에 온 탈북민들은 다 같은 마음일 것 같아요. 남한 사람들도 개인 사업을 한다는 것 자체가 뿌듯해할 것 같아요. 더군다나 우리 북한 사람들은 오죽하겠어요. 또 고향에서 내 이름 석 자 하나도 떳떳하게 드러내놓고 간판을 걸 수 없었던 걸 당당하게 자기 이름 석 자 크게 새겨서 걸 수 있다는 게 얼마나 감격스럽겠어요.
박소연 : 그렇겠죠. 자기 이름으로 간판을 걸고 나면 감격만큼 책임감도 훨씬 커질 것 같습니다.
우리는 북한에서 살 때 모든 것이 정부의 계획하에 돌아가잖아요. 예를 들어, 어떤 농장에서 쌀이나 과일을 생산하면 ’00 협동농장’ 이렇게 표기가 되지만, 남한은 사과를 담은 상자에 직접 가꾸고 수확한 사람의 이름을 인쇄해서 붙여요. 그만큼 자신의 이름 석 자를 걸고 품질을 보장한다는 거죠.
이해연 : 북한은 그 지역의 이름을 써야 하는데 말이죠. 함흥에서 나온 과일이라고 하면...
‘함흥 과수원 협동농장’ 이렇게 새기죠.
박소연 : 우리가 이름에 관해 처음 얘기를 꺼냈던 시작은 해연 씨가 개명해서였는데 얘기를 하면서 보니까 이름이 생각보다 사회의 많은 부분들을 담고 있었네요. 해연 씨는 이제는 지은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받았잖아요? 그 이름으로는 어떤 삶을 꾸려가고 싶은지요?
이해연 : 이름이 새롭게 바뀌었으니까 저 자신의 삶도 새롭게 일궈가야 할 것 같습니다. 더 당당하게 씩씩하게 새로운 이름에 걸맞은 빛나는 삶을 살고 싶습니다.
박소연 : 그럼요. 내가 보는 해연 씨는 지금도 아주 당당하고 빛나는 삶을 살고 계시거든요. 그런데 더 빛나는 삶을 살겠다고 하시니까 앞으로 제가 따라가기가 더 힘들 것 같다는 걱정을 하게 됩니다. (웃음) 그럼 오늘 방송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함께해 주신 해연 씨 감사합니다.
이해연 : 네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탈북 선후배가 나누는 남한 정착이야기 <우리는 10년 차이> 진행에 박소연, 이해연, 제작에 서울 지국이었습니다.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