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청진 아주메의 남한생활 이야기 이 시간 진행에 박수영입니다. 청진에서 초급 여맹위원장을 하다가 남한에 간 여성이 새로운 가정을 꾸려 제2의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좌충우돌 실수도 잦았지만, 하고 싶은 것 마음껏 하며 산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또 어떤 이야기를 전해줄지 한 번 만나봅니다.
기자: 노우주 씨 안녕하세요.
노우주: 네, 안녕하세요.
기자: 이 시간에는 어떤 이야기를 준비하셨나요?
노우주: 오늘은 '직업 선택의 자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사실 북한에서는 직업에 대한 생각을 크게 가져본 적이 없었어요. 제가 북한에서 살 때는 당에서 배치한 대로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인간 로봇으로 살았거든요. 그런데 남한에서는 누가, 무엇을 하라고 지시하는 사람이 없으니 자기가 다 알아서 해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았어요.
기자: 한국에서는 북한처럼 직업을 정해주지 않는데요. 그럼 처음에 많이 당황했을 것 같아요.
노우주: 그렇죠. 어디서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가야 하는지 아무것도 몰랐죠. 한국은 자유민주주의 사회여서 재능과 기술이 있으면 누구든 그 분야에서 일할 수 있다는 것이 너무 새롭게 느껴졌어요. 그리고 그 직업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았어요. 북에서 부모들의 출신성분에 따라 자식들의 직업이 대물림 되는 사회에서 살아왔던 탈북민들에게 잘 할 수 있는 직업을, 그것도 골라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꿈만 같았어요.
기자: 한국에 와서 처음 듣는 직업도 많았을 것 같은데요?
노우주: 네, 변호사, IT 기술자, 놀이 치료사, 부동산사업자 등 처음 듣는 직업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처음 한국에 정착했을 때 탈북민 사회적응 교육기관에서 직업에 대한 진로를 생각해보라는 거예요. 그런데 남한에 어떤 직업이 있는지 잘 모르는 저는 어떤 직업이 있는지 선생님에게 되물었어요. 선생님은 칠판에 직업들을 쭉 적기 시작했죠. 놀이 치료사, 작사·작곡가, 성우, 아나운서, 회계 관리사, 한복 디자이너, 문화재 관리원 등 북한에는 없는 직업이 굉장히 많았어요. 심지어 농사짓는 사람들도 자기 땅에서 고수익 작물을 심어 팔기 때문에 농사업에 종사하는 '사장님'이라고 불리는 것도 놀라웠어요. 바다에서 양식업을 하면 어업계 사장님이고요. 누구든 사장님이 될 수 있는 거죠.
기자: 요즘에는 어떤 일을 하고 계십니까?
노우주: 대한민국에서 살면서 하고 싶었던 대학 공부도 마치고 지금은 방송 일도 하고, 전국민 대상으로 통일교육 강의를 하는 강사로, 또 가수로서 무대에서 노래도 부르고, 쉴 때는 약초도 캐면서 제2의 인생을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어요.
기자: 첫 월급을 받을 때는 기분이 어떠셨어요?
노우주: 꿈만 같고, 울컥했어요. 남한에서는 월급을 현금으로 안 주고 바로 통장으로 넣어주더라고요. 은행에서 손전화기에 통장으로 돈 들어오면 알려주는 알림을 설정해 놓았더니 '딩동' 하는 거예요. 하루 일하면 한 달 먹을 흰쌀 20kg 사고도 남으니, 교통비와 소비하는 돈 외에 남은 돈은 저축했죠. 북에서는 한 달 죽어라 일해야 쌀 2~3kg 살까 말까 하거든요. 그리고 또 친구들과 회식도 했죠. 정착 도움을 주셨던 지인분들에게 자그마한 선물도 해드렸죠.
기자: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는 것이 한국 청소년과 청년들에게 큰 고민거리 중 하나인데요. 그간 생각해보지 않았던 적성을 찾는 데 어려움은 없었습니까?
노우주: 하나원 교육기관에서 2개월 정도 교육을 받을 때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기회도 제공해 주고 한국폴리텍대학에서 간단한 직업 체험도 해보면서 진로를 생각할 시간이 주어집니다. 그때 제가 잘 할 수 있는 직업이 뭘까 고민해보았어요. 저는 무대에 설 때만큼은 즐기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또 여기 국민들이 북한의 실상을 잘 모르고 자꾸 물어보는 것을 보면서 정착 3년이 후부터 안보와 통일교육 강의를 하게 되면서 여기저기서 불러주고 지자체, 초, 중, 고, 대학, 시민단체 등에 나가 강의하고 있어요. 사명감 하나로 지금까지 왔거든요.
기자: 사회에 정착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직업을 갖는 것이기도 하죠. 한국에도 탈북민의 사회 정착을 도와주는 지원단체가 많은데요. 혹시 어떤 경험이 있으신지요?
노우주: 사회에 나오니 적십자사에서 도움을 주고, 안보협력위원회에서도 사비로 탈북민들이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더라고요. 또 지역마다 통일부 소속의 남북하나재단에서 회사나 본인이 원하는 직업을 탈북민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알려줍니다. 기초적인 것들은 직접 가르쳐도 주고 세심하게 도와주니 얼마 안 가서 모두 직업을 얻어서 일하니 얼마나 뿌듯한지 몰라요.
기자: 요즘 한국에서는 '평생직장은 옛말'이라고 합니다. 즉, 퇴직 때까지 한 직장에 평생 종사하는 사람들이 점점 적어지고 있다는 건데요. 이와 같은 추세를 어떻게 보시는지요?
노우주: 지금은 4차 산업이 발달하면서 기계가 사람이 할 일을 대신하고 있잖아요? 고속도로를 지나갈 때 예전에는 사람들이 돈을 받곤 했는데, 요즘에는 하이패스 즉, 고속도로 자동결제 시스템으로 돈이 스스로 빠져나가는 등 사람들이 설 자리가 많이 없지만, 그래도 할 수 있는 일이 많더라고요.
제가 아는 언니도 직업이 두 개입니다. 시골에 요양병원을 차리고 아프신 어르신들을 보살피면서 양봉도 해서 꿀 농사도 직접 하고 있는데요. 자기가 선택한 직업에 만족하며 살아간다고 이야기하는 거예요. 또 부산에 사는 고향 언니는 50이 넘은 늦은 나이에 피부미용사 공부를 마치고 피부미용사원장으로, 피부미용학원 강사로도 활동하면서 지역사회에서 봉사도 하고 인정받으며 열심히 살아가고 있더라고요. 또 어떤 친구는 직접 공장을 운영하는 회사 사장으로, 누구는 상점을 꾸려서 상점 사장으로, 음식점을 직접 운영하는 식당 사장으로 전국 곳곳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일을 마음껏 하면서 돈도 버니 일석이조가 아닐 수 없어요. 북한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이 아닌 당에서 시키는 일만 해야 하는 직업의 자유가 없는 곳에서 살다가 대한민국에 와서 누구든, 원하는 모든 일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점이 무엇보다 피부에 와 닿았고요. 간섭이나 구속이 없이 자유롭게 경제활동 하는 것을 보면서 북한 주민들에게도 직업의 자유가 있는 날을 함께 누렸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기자: 정해진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원하는 일을 해서 그에 맞는 보상을 받으니 직업에 대한 자부심도 다르겠어요.
노우주: 맞아요. 저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이 남다르거든요. 제가 선택한 일이지만 참 잘 선택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대한민국의 든든한 국가관, 안보사랑, 나라 사랑을 위해 그리고 하나가 되기 위한 평화통일의 여정을 사명감을 가지고 함께하고 또 외길 인생을 묵묵히 가고 있다는 자긍심에 가슴이 뜁니다.
기자: 노우주씨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노우주: 여러분 다음 시간에 뵐게요.
청진 아주메의 남한생활 이야기, 오늘은 직업 선택의 자유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지금까지 진행에는 RFA 자유아시아방송 박수영입니다.
참여 노우주, 진행 박수영, 에디터 이진서, 웹담당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