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국가기관들이 거의 공개적으로 밀수를 행하고 있다는 증언들이 나왔습니다. 북한 국가기관들은 대북제재 대상품목을 주로 밀수로 수출하거나 수입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23일 “요즘 국제사회의 제재에 의해 거래가 금지된 제재대상 품목은 주로 국가(기관)밀수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면서 “대형 화물차로 제재대상 품목인 중국산 대형 설비 제품이나 철강재를 들여오는 것을 보면 ‘이게 정말 밀수인가 의심할 정도로 대낮에 버젓이 밀수를 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얼마 전 한 협동농장에 중국산 양수설비가 여러 대 들어왔다”면서 “국가기관이 중국에서 제재대상 품목인 양수기와 파이프(쇠관)을 구입해 통관절차 없이 협동농장까지 운반해 주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주민들 속에서 국가차원의 밀수에 대한 뒷말이 무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양수설비는 가물막이 대책으로 관개시설과 지하수 원천을 확보하라는 중앙의 지시에 따라 주민들로부터 충성자금을 모아 구입한 것”이라며 “하지만 양수설비가 대북제재 품목이라 국가기관이 나서서 밀수로 들여오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24일 “요즘 대북제재품목에 해당하는 각종 철제품들이 밀수를 통해 버젓이 들어오고 있다”면서 “국가대상건설이나 지방 산업 생산에 필요한 설비들과 철강재들은 국가기관이 나서서 밀수를 통해 확보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국가차원의 밀수가 활발하다는 사실을 안 주민들은 대북제재로 인해 인민생활이 어렵게 되었다는 당국의 선전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면서 “국가보위성 등 권력기관이 주도하는 밀수가 이처럼 공공연하게 행해지는데 제재 때문에 주민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들여오지 못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요즘 조선의 경제발전에서 가장 큰 문제는 대북제재 때문에 물자를 들여오지 못해서가 아니라 중앙에서 인민생활을 위한 물자를 공급할 의지가 없다는 것”이라면서 “자금만 있으면 중국에서 어떤 물품이든 국가 밀수로 들여올 수 있는데 대북제재가 무슨 상관이 있겠느냐”고 주장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김지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