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하버드대 벨퍼센터(Belfer Center)는 사이버 역량을 갖춘 전 세계 30개 국가 중 사이버 수단을 통해 불법적으로 돈을 버는 유일한 국가로 북한을 꼽았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벨퍼센터는 9일 2020년 국가별사이버능력지표(National Cyber Power Index 2020) 보고서를 통해 북한을 비롯,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전 세계 30개국의 사이버능력(Cyber Power)을 평가했습니다.
보고서는 사이버능력을 의도(intent)와 역량(capabilities)으로 구분해 평가했는데 의도는 국가적인 사이버 전략수립 등 정부의 사이버 활용 의도를 보여주는 행동을 측정해 평가했고, 역량은 사이버 전문기업이나 전문가 수 등을 측정해 평가했습니다.

그리고 이 의도와 역량 치수를 합쳐 '국가사이버능력지표'를 마련했습니다.
보고서는 이어 국가들이 사이버능력을 통해 이루려는 목적을 국내단체 감시, 국가사이버방어 강화, 정보환경 통제(control intelligence environment), 외국정보 수집, 가상화폐 등 상업적 이득, 적의 사이버 능력 파괴, 국제 사이버규범 마련 등 7가지로 구분했습니다.
그러면서 연구대상 30개국 중 29개 국가는 사이버수단을 이용해 합법적으로 돈을 벌고 있는데 불법 사이버 활동을 통해 돈을 벌고 있는 유일한 나라는 북한이라고 지적했습니다. (While 29 countries were observed pursuing legal wealth generation via cyber means, only one country was observed pursuing it via illegal means—DPRK.)
이 보고서 공동저자인 줄리아 부(Julia Voo) 벨퍼센터 사이버 연구국장은 9일 열린 이 보고서에 대한 화상회의에서 북한의 사이버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이번 연구에서 북한의 사이버능력을 측정할 공식적인 정보를 얻기가 매우 어려웠다고 밝혔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조사한 30개 국가들 간 사이버능력을 비교하는 지표에서 북한은 순위를 정하지 못했다면서 북한의 경우 가상화폐 등을 통해 돈을 버는 것이 사이버능력의 주된 목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부 국장: 북한의 순위를 매긴다면 매우 낮을 것입니다. 북한의 사이버활동 목적은 국가사이버방어 강화나 국제사이버규범 마련과는 거리가 멉니다. 가상화폐 등을 통한 돈을 버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이와 관련해 8일 알려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최근 약 2년동안 해킹을 통해 3억 달러가 넘는 수입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 사이버능력이 가장 고도화된 나라는 미국이었고 2위는 중국, 3위는 영국, 4위는 러시아 순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