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벨기에, 즉 벨지끄의 한 비정부 기구가 최근 한층 강화된 대북제재로 인해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이 극심히 제한되고 있다면서, 북한을 인도주의 접근성이 최악인 국가로 분류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전 세계 국가들의 인도주의 상황과 필요 여부를 평가하는 벨기에 비정부기구 ACAPS(The Assessment Capacities Project)는 15일 ‘인도주의 접근성 보고서’(the Humanitarian Access report)를 통해 북한을 ‘인도주의 접근 제약이 가장 높은 국가’(High access constraints)로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기구는“북한에서 인구 이동이 심하게 제한되고 있으며 인도주의 지원의 진입이 방해받고, 지원이 필요한 주민에 대한 인도주의적 접근이 심각하게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 제재는 원조에 대한 접근을 더욱 제한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기구는 인도주의적 지원 접근 등급을 ‘완벽히 접근 가능’(Full access), ‘낮은 접근 제약’(Low access constraints), ‘보통 접근 제약’(Moderate access constraints), ‘높은 제약’(High access constraints) 등 4등급으로 구분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를 살펴보면, 총 37개국이 인도주의적 접근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37개국 중 북한과 함께 인도주의적 접근 제약이 가장 높은 국가는 예멘, 파키스탄, 소말리아, 시리아, 이라크 등 18개국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보통 접근 제약국’(Moderate access constraints)은 9개국이며 10개국이 ‘낮은 접근 제약국’(Low access constraints)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기구에 따르면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가 점점 더 강화되면서 대북 인도주의 지원이 극심히 제한되고 있습니다.
이 기구는 이어 “대북 인도주의 단체들은 지원 대상 마을에 대한 접근, 지원에 대한 마을 단위의 평가, 그리고 분배 감시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이 기구는 “은행 창구가 막혀 지원 자금을 북한으로 송금하는 게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북한 주민 180만 명이 외부의 식량 원조에 의존하고 있으며 정부 배급으로 1인당 하루의 400그램 밖에 안 되는 식량을 제공받는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주민 약 1천440만명이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170만명의 어린이가 심각한 질병이 시달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 기구의 ‘인도주의적 접근성 보고서’는 지난해 8월부터 6개월간 인도주의적 진입 장애, 활동 방해, 직원에 대한 폭력, 물리적 제약, 원조에 대한 필요성 거부 등 9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인도주의적 접근성을 4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