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석탄 밀거래 “이젠 대놓고 한다”

0:00 / 0:00

앵커: 그동안 몰래 이뤄지던 북한과 중국간의 석탄 밀무역이 이젠 공공연한 비밀이 돼버렸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홍알벗 기자입니다.

미국의 경제전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 북한과 중국이 양국 간의 석탄 밀거래를 더 이상 숨기려고 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 매체는 익명의 미국 고위관리와 인공위성 사진을 인용해, 지난 1년동안 북한 선박이 수백차례에 걸쳐 중국으로 석탄을 실어 날랐다고 전했습니다.

동시에 중국 깃발을 단 선박들도 북한 남포항에서 석탄을 선적한 뒤 중국으로 실어 날랐는데, 이 과정에 이용된 북한과 중국 선박들은 예전과 달리 선박의 이름과 국적을 속이지도, 그리고 선박자동식별장치를 끄지도 않았다는 설명입니다.

지난 2017년 제정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북한의 석탄 수출은 전면 금지돼 있지만,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에서의 선박 대 선박 환적방식은 물론 북한과 중국 닝보-저우산 지역의 항구를 오가는 석탄거래가 버젓이 이뤄지고 있는 겁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북한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총 410만 미터톤, 미화로 최대 4억1천만 달러 어치를 수출한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앞서, 올해 초 제출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최소 3억7천만 달러 상당의 석탄을 수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워싱턴의 민간연구단체인 한미경제연구소(KEI)의 트로이 스탠가론 선인국장은 7일, 미국과 중국과의 긴장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의 적극적인 대북제재 이행을 기대하긴 힘들 것이라며 구체적인 증거로 중국을 압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스탠가론 선임국장: (중국의 대북제재 불이행은)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 간 긴장상황을 어느정도 반영한다고 봅니다.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중국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공개적으로 증명한 다음, 그것을 멈추라고 압력을 가하는 것입니다.

한편, 이와 관련해 미국 민간기관인 국익연구소의 해리 카지아니스 한국담당 국장은 7일, 로버트 오브라이언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 5일 "대북제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주도의 제재이고 중국은 이를 이행할 특별한 의무가 있다"면서 "중국이 유엔 회원국, 특히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으로서 대북제재 이행 의무를 완전히 다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또 중국이 북한 노동자 유입 및 그에 따른 북한으로의 송금을 계속 허용하고 있으며 석탄 등 북한 상품의 교역에도 느슨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