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는 코로나19 발병 상황에 취약한 북한 주민들을 우려한다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을 수용하길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지원 한국 국가정보원장은 13일 열린 한 회의에서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해 미국에 백신 제공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미국이 더 대담하게 자국의 백신을 주겠다고 제안한다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는 모멘텀(추진력)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이에 대한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 요청에 "북한 정부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그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Even where we disagree with a government like the DPRK, we must work to the best of our ability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people.)
국무부 대변인은 "주요 인도적 지원을 목표로 하는 국제적 노력을 계속 지지하며 북한이 이를 수용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We continue to support international efforts aimed at the provision of critical humanitarian aid in the hope that the DPRK will accept it.)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북한 주민들에 대한 인도 지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와 미국 정부 자체의 인도주의 지원 절차를 신속하게 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가 북한에 대한 추가 백신 배정 계획을 발표하고, 유엔 기구가 백신 운송에 필요한 물품에 대해 대북제재 면제 승인을 받으면서 북한이 백신 접종을 위한 준비에 나서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는 지난달 말 북한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473만 4천 회분을 추가 배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코백스는 지난 3월 북한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99만 2천 회분을 배정했지만, 준비 절차 등의 미비로 아직 공급되지 않았고, 최근에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만 회분을 추가 배정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코백스를 관할하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측 대변인은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가비와 코백스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코백스 지원 운영을 위해 북한과 대화를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GAVI and COVAX are continuing the dialogue with DPRK to operationalize COVAX support.)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지난 9일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의 대북 의료물품 지원 사업에 대한 제재 면제 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는데 이 중 백신 보관과 운송에 필요한 콜드체인(저온유통체계) 장비도 포함돼 있습니다.
미국 한인의사협회(KAMA) 북한 담당 박기범 교수는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유니세프가 이전부터 북한에 다양한 전염병 백신을 위한 콜드체인 장비를 정기적으로 지원해왔지만 이번 물품 반입은 코로나 19 백신 공급을 위한 준비 조치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박기범 교수: 이는 북한 콜드체인의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한 유니세프의 정기적인 지원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가능성은 북한이 코로나 백신 수용을 결정했을 때 코백스의 백신 공급을 위한 콜드체인 준비를 확실히 하기 위한 것입니다.
한편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Pfizer)는 대북 백신지원에 대한 계획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문에 "이 문의는 코백스에서 처리할 문제"라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