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주민들이 직권을 이용해 뇌물을 요구하는 등 부패한 간부들을 조롱하는 은어들이 주민들 속에서 널리 퍼지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2일 “요즘 지방 당 기관과 사법기관 간부들의 부정부패가 중앙의 통제를 피해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면서 “주민들속에서는 기관 간부들의 부정부패행위에 대해 특수한 ‘별명’을 붙여 비난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에서 간부들의 부정부패와 관련해 검열을 진행할 때에는 잠잠했다가 요즘 들어 간부들이 주민들에게 노골적으로 뇌물을 요구하는 등 부정부패 행위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면서 “주민들속에서 간부들의 부패 행위를 두고 당간부에게는 ‘당당하게 해먹는 사람’ 보위원은 ‘보이지 않게 해먹는 사람’ 안전원은 ‘안전하게 해먹는 사람’이라는 별명을 붙여 조롱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회령시 망양동에 사는 한 주민은 중국 휴대전화를 이용해 전화 브로커 노릇을 하다가 보위부에 단속되어 3년 노동교화형을 받고 최근 출소했는데 나온 첫날부터 담당 보위원이 감시하는 것을 알고 조용히 그를 찾아가 감시를 풀어주도록 부탁하면서 뇌물 3000위안(약 400달러)을 바쳤다”면서 “그런데 잠시 감시를 풀어주는 듯 하더니 돈맛을 들인 보위지도원이 열흘이 멀다 하게 집에 찾아와 뇌물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바람에 치를 떨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가장 공명정대해야 할 당 기관, 사법기관 간부들의 부정부패는 중앙 통제의 고삐가 조금만 느슨해지면 더욱 교묘하게 주민들을 약탈하고 있다”면서 “반면에 사회적으로 엄중한 죄를 지어도 사법기관 간부에게 뇌물을 얼마나 주는가에 따라 형량을 줄일 수도 있고 아예 처벌을 피할 수도 있는 실정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같은 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이 수년째 지속되면서 생활난이 가중되자 어쩔 수 없이 불법을 해서라도 먹고 살기 위한 투쟁을 벌리는 주민들이 많다”면서 “당 기관이나 사법기관 간부들은 생활난에 시달리는 주민들의 약점을 이용해 뇌물로 자기 주머니를 채우느라 혈안이 되어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돈만 있으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거주 이전, (노동당) 입당, 기업소 배치, 승진 등과 관련해 해당 간부에게 뇌물만 주면 본인이 원하는 대로 될 수 있다는 생각이 팽배해 있다”면서 “심지어는 사회안전부나 검찰소 성원 자리도 돈으로 살수 있을 정도로 부정부패가 사회의 일상으로 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간부들이나 돈 많은 사람들은 아무리 엄중한 죄를 지어도 직권을 이용하거나 뇌물만 주면 아무 일 없었다는 듯 풀려나고 있다”면서 “주민들속에서는 말이 사회주의이지 실제로는 권력과 뇌물의 양에 따라 형량도 달라지는 ‘뇌물 공화국’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이명철,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