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백악관 고위관리가 가상화폐 시장을 노린 북한의 사이버 범죄를 언급하며 관련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9일 미국외교협회(CFR)가 주최한 좌담회에서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적절한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북한의 사이버 범죄를 언급했습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이날 "가상화폐가 불법 자산일 경우 취소되도록 고안될 수 있다"며 북한이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가상화폐를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가 지난 3월 블록체인 비디오 게임 '액시 인피니티'에서 6억2천만 달러 규모의 가상화폐를 탈취한 사건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이를 통해 미사일 프로그램을 진전시키며 역내, 국제적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또 북한의 가상화폐 탈취를 막기 위해 최근 재무부가 북한의 가상화폐 세탁을 도운 믹서 업체를 처음 제재했다고 말했습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믹서는 돈세탁을 위해 익명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이러한 조치는 중요하다"며 이는 정부 차원의 진화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불법 거래를 막기 위해 가상화폐 거래소와 같은 단체가 아닌 믹서 업체까지 추적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이어 현존하는 규제를 어떻게 더 나은 방식으로 가상화폐 세계에 도입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재무부는 6일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겨냥해 북한이 탈취한 암호화폐의 자금세탁에 쓰인 믹서 서비스 업체 '블렌더'(Blender)를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믹서 서비스란 암호화폐를 쪼개 자금의 출처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런 가운데 미 백악관의 젠 사키 대변인은 9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의 오는 20~24일 한국과 일본 순방 중 북한 문제가 주요 의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키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기간 중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수 있다는 한국 당국자들의 분석에 대한 질의에, 미국은 북한의 핵실험 동향을 모니터링(감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답했습니다.
사키 대변인:바이든 대통령의 한일 순방에서 북한은 최근 (미사일 발사) 시험 등을 감안할 때, 의제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에 있을 것이며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 일본과 역내 안보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I would note that when the President goes to South Korea and Japan, North Korea, especially given the recent tests, will be front and center in the agenda and discussing security in the region with them.)
다만 사키 대변인은 미국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북제재 등 조치를 취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예측하거나 미리 언급할 내용이 없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사키 대변인은 또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 윤석열 대통령과 역내 안보 문제와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 논의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