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사이버 공격을 통해 자금을 탈취하고 국제 제재를 회피하고 있다는 미 법무부 당국자의 지적이 재차 제기됐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매튜 올슨(Matthew G. Olsen) 법무부 국가안보담당 차관보는 2일 에스토니아의 수도 탈린에 위치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이버방위센터에서 국가 주도의 사이버 공격 사례를 언급하며 북한을 그 예시로 꼽았습니다.
올슨 차관보는 이날 열린 사이버 안보 국제회의에서 "우리는 중국과 이란, 북한과 러시아 등 다양한 적국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들과 이들의 대리인이 우리의 민주적, 경제적 시설을 위협하는 방식으로 사이버 기반 수단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놀랄 일이 아니"라며 "오늘날 가장 심각한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 상당수는 사이버 공간에서 나타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국가들이 사이버 공격을 통해 기술이나 무역 기밀, 지적 재산을 훔치고 미국 시민들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우리의 민주적 절차에 악의적이고 은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파괴적인 공격을 통해 주요 사회기반시설을 위험에 빠뜨린다"고 지적했습니다.
올슨 차관보는 이러한 국가 주도의 사이버 공격 사례로 북한을 언급하며 "북한 행위자들이 암호화폐 거래소와 중앙은행을 강탈해 수억 달러를 훔치고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을 제한하기 위해 고안된 국제 제재를 회피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North Korean actors have robbed cryptocurrency exchanges and central banks alike, stealing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and evading international sanctions designed to limit their weapons programs.)
그러면서 법무부의 국가안보부서는 "국가 행위자들 및 그 대리인들에 의한 악의적 사이버 활동을 추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러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법 집행 도구 등 법무부의 권한과 함께 협력 기관들의 도구를 사용할 때 그 대응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며, 사이버 공격자에 대해 법무부의 형사 기소와 재무부의 제재가 함께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민간 부문 및 해외 기관들과 협력해 제재나 무역구제조치 등을 활용하거나 같은 입장을 가진 국가들과의 외교적 노력에 동참할 때 미국 정부의 대응은 가장 강력해진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 연방수사국(FBI)의 크리스토퍼 레이(Christopher Wray) 국장도 지난 1일 미 보스턴칼리지에서 열린 사이버 안보 관련 회의에서 북한이 국가 주도의 사이버 공격을 계속 감행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레이 국장은 이날 "국제 무대에서 중국과 러시아만이 악의적 행위를 하는 유일한 국가가 아니"라며 북한을 언급했습니다.
레이 국장:이란과 북한 역시 미국 피해자들을 겨냥해 정교한 (사이버) 침입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Iran and North Korea also continue to carry out sophisticated intrusions targeting US victims.)
한편 미국의 주도로 추진된 최근 유엔 차원의 대북 추가제재 결의안에는 북한 정찰총국과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해킹 조직 '라자루스'의 국제 자산을 동결하는 조항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결의안은 지난달 26일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부결됐지만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주유엔 미국 대사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이를 재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