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양국이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과 자금 조달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제재 등 정책 공조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는 16일 정 박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와 이태우 한국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이 이날 서울에서 ‘제2차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 실무그룹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에는 양국 정부 대표들이 참석해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과 암호화폐 탈취 및 세탁, 북한 정권의 불법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자금을 조달하는 정보기술(IT) 노동자들에 대한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국무부는 “한미 양국이 민간 부문 및 국제사회와 협력해 북한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광범위한 대응을 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실무그룹은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응하고 사이버 제재를 마련하기 위한 한미 양국의 정책 공조를 논의했고, 북한 정권의 자금세탁 활동을 돕는 조력자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고 덧붙였습니다. (The working group discussed U.S.-ROK policy coordination in addressing the DPRK’s unlawful cyber activities and developing cyber sanctions and further shared information on facilitators who assist with the regime’s money-laundering activities.)
이런 가운데 17일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정 박 부대표는 이날 서울에서 열린 ‘북한 암호화폐 탈취 대응 한미 공동 민관 심포지엄(토론회)’에 참석해, 북한 암호화폐 탈취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민관 협력과 국제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16개국의 정부 인사 및 암호화폐 거래소·블록체인 기업·싱크탱크(연구기관) 소속 관련 민간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북한의 공격 및 대응 사례 등을 공유하고 정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으며, 향후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더욱 긴밀히 공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과 한국 정부의 조치로는, 미국 정부의 독자제재와 한국 정부의 가상자산 관련 국내 제도 정비 사례 등이 논의됐습니다.
한편 한국 연합뉴스 보도 등에 따르면 정 박 부대표는 이날 환영사에서 “북한은 다른 국가와 기업, 사람들의 자금을 적극적으로 탈취하는 악명 높은 국가 중 하나”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가 방어를 강화할 때 우리 자신을 보호할 수 있고 북한의 불법 자금이 무기 개발 프로그램에 쓰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북핵수석대표인 김건 한반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역시 회의 축사를 통해 북한이 불법 사이버 활동으로 도발 자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본부장은 특히 지난 3월 북한이 블록체인 비디오 게임 ‘액시 인피니티’ 해킹 사건으로 6억2천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갈취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 당국은 올해 4월 북한 연계 해킹 조직인 라자루스가 액시 인피니티 게임에서 암호화폐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로닌 네트워크(망)’를 해킹해 약 6억2천만 달러를 갈취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김 본부장은 그러면서 “북한은 올해 상반기에만 31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데 4억 달러에서 6억5천만 달러를 탕진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며, 북한이 액시 인피니티 사건으로 올해 상반기 탄도미사일 발사 비용 모두를 벌어들였음을 시사했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